추석 대목 앞두고…농축산물·집세·유가 등 일제히↑
물가 예측 실패한 정부…"공급 늘려 시장 움직인다"
2021.9.6/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추석 연휴를 2주 남짓 앞두고 농축수산물과 집세, 기름값 등 전반적인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이날인 7일부터 11조원 규모 국민지원금이 본격적으로 풀리면서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배(원황) 10개 소매 가격은 평균 3만2010원으로 1년 전(2만6427원)보다 21.1% 올랐다. 사과(홍로) 10개 가격은 평균 2만5154원으로 1년 전(3만497원)보다 17.5% 하락했지만, 평년(2만2568원)보다는 11.5% 상승했다.
한우 안심 가격은 100g 기준 1만6272원으로 1년 전(1만4314원)과 비교해 13.7% 비쌌다. 돼지고기 가격도 들썩여 삼겹살(국산냉장) 100g이 1년 전(2360원)보다 14.0% 오른 2690원에서 시세를 형성했다.
계란은 30개 들이로 6603원인데, 이는 작년(5571원)보다 18.5% 오른 가격이다.
올해 폭염과 조류인플루엔자(AI)·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지난해 있었던 역대 최고 수준 장마 피해 등 악재가 겹치면서 1년째 밥상물가가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문제는 식품만이 아니다. 통계청 공식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중 최고치(2.6%)를 기록하면서 5개월 연속 2%대 상승세를 이어갔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품목별로는 공공서비스를 빼고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집세, 개인서비스 등이 일제히 올랐다.
예컨대 한동안 잠잠했던 집세는 지난달 1.6% 상승해 2017년 8월(1.6%) 이후 4년 만에 최고 상승 폭을 나타냈다. 월세는 0.9% 올라 2014년 7월(0.9%) 이후 7년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고, 전세도 2.2% 치솟았다.
최근 전반적인 물가 오름세는 '심상찮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장기적인 추세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30일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기조적 물가 흐름이 높은 수준을 지속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기조적 물가란 날씨 같은 일시·단기적인 요인을 제거한 긴 시계의 물가 흐름을 뜻한다.
한은은 "올해 4월 이후 기조적 물가 지표의 평균 상승률이 코로나19 확산 이전을 상회했다"면서 "물가 상승 압력은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는 정부의 당초 예상을 빗나간 결과다. 앞서 정부는 올해 물가 흐름이 '상고하저'의 모습을 보이면서 하반기에는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6월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하반기로 갈수록 공급 충격이 해소되며 물가 상승 압력은 완화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물가 예측이 실패하면서 안정 대책도 뚜렷한 효과를 내지 못했다. AI로 인해 치솟은 계란 값만 해도, 정부가 8~9월 추진한 총 2억개 수입이 하락 안정세로 이어지진 못한 실정이다.
2021.9.6/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에 소득 하위 88% 국민에게 주는 상생 국민지원금이 전날 신청 창구를 열고 이날부터 지급되면서, 물가를 자극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지원금은 연말까지 쓰지 않으면 사라지기에 연내 경제 전반의 수요를 끌어올리게 된다.
수요 증대에 따른 물가 상승은 원론적으로 불가피하다. 정부는 이에 주요 성수품 공급을 평시보다 1.4배 늘려 추석 전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민지원금과 추석으로 인해 '이중'으로 늘어난 수요를 따라잡기는 힘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한은이 예측한 경기 회복에 따른 기조적 물가 상승과 최근의 국제 유가·원자재 가격 상승세도 발목을 잡는다.
일단 정부 당국은 추석 공급 대책이 효과를 내면서 물가 상승 폭이 제한된다는 데 기대를 걸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물가 상방 요인이 많지만 기저 효과가 완화되고 명절을 앞둔 정부의 공급 대책 등 효과가 작용한다면 예상 못할 정도로 (상승 폭이) 커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icef08@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