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재난지원금 지급

"국민지원금, 서울 다이소 안되고 부산 대전 된다?"…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6일 서울 종로구의 한 주민센터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에 대한 안내를 하고있다. [김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 88%가 1인당 25만원씩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하 가맹점)이라도 지역사랑상품권 취급 여부에 따라 사용처가 달라진다.

예로 수도권 지역의 경우 다이소는 전 점포가 국민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반면, 올리브영은 직영점이 아닐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편의점 빵집 대부분 가능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민지원금 사용처는 지자체별 지역사랑상품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비자가 손쉽게 국민지원금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네이버와 카카오 등 대형 포털사이트 지도에 표시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직영점이냐 가맹점이냐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달라진다. 대기업 본사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이라면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다. 전 매장이 직영점인 스타벅스에서 국민지원금을 쓸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비해 편의점은 가맹점이 99%다. 파리바게뜨·뚜레쥬르, 교촌·BBQ·bhc치킨, 아이스크림 전문점 배스킨라빈스 등도 모두 가맹점 비율이 90% 이상이다. 이들 업체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과 빵집, 치킨집, 카페는 대부분 지역상품권 사용 등록도 완료한 상태다. 서울시는 소상공인기본법에 의해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음식점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수 5명 미만, 평균 연매출액이 400억 이하면 소상공인으로 분류된다. 편의점의 경우 가맹본사가 지자체와 협약을 맺고 지역상품권 사용처로 등록한 상태다.

매일경제

코로나19 국민지원금 오늘부터 접 6일 서울 마포구 재래시장의 한 가게에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가능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이소, 수도권 全매장 불가


가맹 비율이 낮은 곳은 다소 까다롭다. 대표적인 곳이 다이소(35%)와 올리브영(20%)이다. 올리브영은 주소지 내 가맹점이 있다면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 경기가 47개로 가장 많고 이어 서울(32개), 경북(23개) 등의 순이다. 단 해당 매장이 지역상품권 사용 가능 점포여야 한다.

다이소도 3개중 1개꼴로 점주가 있는 가맹점이다. 그러나 서울에 있는 점포는 가맹점이라도 국민지원금을 쓸 수 없다.

다이소가 내년 7월까지 중소기업 적합업종(문구소매업) 관련 기업으로 규정돼 지역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 측은 "다이소는 골목상권 침해 이슈로 수도권 내 전 점포가 국민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다이소 관계자는 "서울 지역 외 가맹점에서는 국민지원금을 사용할수 있지만, 방문 전 미리 문의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사진 제공 = 이마트24]


◆ 편의점서 한우 양주 불티


주요 프랜차이즈 업종은 국민지원금 사용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이 발간한 '(1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편의점은 지난해 5월 재난지원금 지급 후 매출이 지급 전대비 5.6% 증가했다. 당시 편의점에서 소고기 매출과 양주 매출이 각각 50%, 13% 가량 뛰었다. GS25에서는 카드 결제 비중이 86.1%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마트24는 생필품 행사 상품을 30% 이상 확대하고, 다음달 13일까지 사용 누적금액 25만원을 달성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최대 250만원(1명)의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교촌과 BBQ, bhc치킨 등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는 자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주문한 뒤 배달원과 직접 만나 결제할 경우 국민지원금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신미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