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주담대 금리 5%대 가나...영끌족 발등에 떨어진 '이자폭탄' [기준금리 0.75% 빚의 부메랑]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대출 변동금리 비중 72.7%
1년새 대출금리 0.97%나 올라
취약계층·영끌족 건전성 '비상'
금융당국 은행 대출관리 강화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우려하던 '이자 폭탄'이 현실로 다가왔다. 한국은행이 1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취약계층, 영끌로 집을 구매한 2030세대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올 초부터 시장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2%대의 신용대출이 자취를 감췄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3%대로 오르고 있다. 대출의 대부분이 변동금리인 상황에서 기준금리까지 오르면서 시장금리 인상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아울러 이주열 한은 총재가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둠에 따라 은행 돈을 많이 빌린 취약계층의 부담은 더욱 증대될 수밖에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주담대 금리 5%대 가나…변동금리 차주 '직격탄'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상승이 시작된 은행 대출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미 올 초부터 시중은행들은 우대금리 등을 축소하면서 대출금리를 끌어올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19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96∼4.01%로 지난해 7월 말(1.99∼3.51%)과 비교해 약 1년 사이 하단이 0.97%p나 높아졌다. 신용대출 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연 2.62∼4.13%) 최저 수준도 지난해 7월 말(2.25∼3.96%)보다 0.37%p 올랐다.

설상가상으로 한은이 기준금리까지 인상하면서 시중금리는 더욱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은행들이 대출 관리를 강화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출금리는 상승할 것"이라며 "주담대 금리가 5%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한은발 금리 상승이 차주들에게 당장 이자 폭탄을 던지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예금은행 가계대출 전체 잔액 가운데 72.7%가 변동금리 대출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6년9개월 만의 최고 기록이다. 한은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서 개인대출 금리가 1%p 오를 때 전체 가계대출 이자는 11조8000억원, 코로나19로 어려운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도 5조2000억원 커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 통계는 지난해 말 가계대출 잔액 등을 기준으로 한 것인 만큼, 최근 1800조원이 넘는 가계신용을 기준으로 하면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물가상승세와 가계부채를 고려할 때는 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한 시기에 이뤄졌다"며 "다만 (금리인상으로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재정을 통해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30 영끌·빚투족 '노심초사'
특히 금리인상으로 인해 2030 영끌 투자족들은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불어 닥친 영끌·빚투 열풍의 최전선에 있었다. 올해 1·4분기 말 기준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현황을 살펴보면 20대는 약 44조원, 30대는 약 217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직후인 지난해 2·4분기 말(20대 35조6000억원, 30대 190조4000억원) 대비 22%, 13% 각각 증가한 것이다. 또한 최근 3년 간 신용대출 순증을 살펴보면 절반 가까이가 1억원에 근접하는데, 이 중 30대와 40대가 50%를 넘는다. 국세청에 보고된 1인당 평균 종합소득이 2019년 3100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가 연봉의 2배 가까이 대출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2030의 대출 규모가 눈에 띄게 증대된 상황에서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자연스레 이들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모양새다.

더욱이 최근 2030의 자산 상승세가 한풀 꺾임에 따라 금리인상시 체감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올해 상반기 투자 수익률을 보면 2030이 중심이 된 개인들의 투자 수익률은 약 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기관과 외인 등의 투자수익률이 30~40%대인 것과 대조적이다.

자영업자 등 다른 취약계층에도 비상이 걸렸다. 올해 1·4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약 832조원이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0%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취약계층일수록 이미 높은 수준의 대출이자를 부담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비중도 높다는 점에서 금리인상이 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더욱 클 것으로 관측된다. 신세돈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2030 영끌 세대 등과 같이 경제적 여건이 비교적 취약한 이들, 특히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이들의 부담이 굉장히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