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국경제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10년간 한국의 제조업 인력 고령화가 주요 제조 강국인 미국, 일본보다 빠르게 진행된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제조업 인력 비중이 약 2배 증가한 반면, 청·장년층 비중은 줄어들며 우리 경제 근간인 제조업의 성장잠재력이 급격하게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0년간(2010~2020년) 우리나라 제조업 노동자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제조업 노동자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이(7.3%포인트)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 비중도 21.6%에서 15.2%로 6.4%포인트 줄었고, 40대도 27.7%에서 26.9%로 0.8%포인트 감소했다.
한경연은 “50대 이상 제조업 인력 비중이 10년 새 2배로 높아지며 제조업 인력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다른 제조업 강국인 미국, 일본과 비교해도 훨씬 빨랐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연평균으로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0.90% 올라 미국(0.08%)보다 11.3배, 일본(0.32%)보다 2.8배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셈이다.
출처 한국경제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경연은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6년부터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44.9세)이 미국(44.6세)과 일본(43.6세)을 모두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뿐만 아니라 엄격한 노동 규제로 인한 기존 정규직 과보호와 제조업 고용위축으로 인해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도 있다고 분석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2010~2015년 사이 59만7000명 증가한 데 비해 2015~2020년에는 7만1000명 증가에 그쳐 최근 5년간 크게 줄어들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의 고령화는 성장동력 약화에 따른 산업 및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하고 세대 간 소득양극화 및 청년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라며 “직무가치·생산성을 반영한 임금체계로의 개편, 노동유연성 제고 등으로 노동의 질적 향상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노정연 기자 dana_fm@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