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취업자 증가폭 석달째 둔화…30대 17개월 연속 감소(상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고용동향, 7월 취업자수 54만여명 증가

고용시장 개선세지만 일부 대면서비스업 감소

잇단 방역 강화 조치에 8월 고용 부진 우려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지난달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강력한 거리두기가 시행됐지만 수출 호조와 경기 회복 영향으로 취업자수는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잇단 방역 강화 조치로 음식·숙박업 취업자가 감소로 전환하는 등 고용 시장 타격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조업과 도소매업에도 영향을 미치며 30대 고용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

이데일리

지난달 14일 오전 서울남부고용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일자리 상담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764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4만 2000명 증가했다. 지난 3월부터 5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다.

고용률은 61.3%로 0.8%포인트 상승했다. 15~64세 고용률도 67.1%로 전년동월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는 21만 8000명 감소한 92만명이다. 이는 2014년 7월(91만 4000명) 이후 7월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다. 실업자수는 2019년 8월(27만 5000명) 이후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실업률은 3.2%로 전년동월대비 0.8%포인트 하락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수출 호조와 경기회복으로 취업자수가 5개월 연속 증가했다”며 “업종별로는 보건복지업, 운수창고, 건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취업자수 증가폭은 3개월째 둔화하고 있다. 이는 온라인 거래 증가와 거리두기 4단계로 인한 방역수칙 강화로 도소매업 취업자의 감소폭이 확대된 영향이다. 음식·숙박업 취업자가 감소 전환한 영향도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3만 7000명), 운수 및 창고업(12만 1000명), 건설업(9만 2000명) 등이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18만 6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5만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2만 8000명) 등은 감소세를 유지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도 1만 2000명 줄며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종사장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6만 1000명, 임시근로자는 35만 2000명 각각 증가했다. 일용근로자는 17만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 7000명 증가했으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만 1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 6000명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48만 1000명,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24만 1000명 각각 증가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3시간으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30대(-12만 2000명)만 유일하게 감소했다. 60세 이상은 36만 1000명, 20대 16만 6000명, 50대 10만 9000명, 40대 1만 1000명 각각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1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30대가 주로 종사하는 제조업에서 청년층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회복하면서 상대적으로 30대 취업자수가 감소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도소매업의 감소세가 이어진 것도 30대의 고용 회복 어려움에 영향을 줬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52만 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명 감소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19만 3000명), 육아(-6만 1000명) 등에서 줄었다. 연로(13만 8000명), 심신장애(2만 1000명) 등은 증가했다. 취업준비자는 87만 7000명으로 6만 7000명 늘었다.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1만 5000명 증가해 233만 4000명이다. 구직단념자는 63만 3000명으로 5만 2000명 늘었다.

4차 대유행에도 고용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잇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일 2000명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 국장은 “8월 고용동향은 경기회복과 백신 접종 등 긍정적 요인이 다소 있다”면서도 “방역수칙 강화에도 신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어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예상했다.
이데일리

2021년 7월 고용동향.(자료=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