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섬진강 수해, 정부 배상을" 구례 소 위령제·차량 시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년 전 집중호우 당시 섬진강댐 방류…구례읍 일대 침수

집단 폐사한 소 위령제…'정부 책임 규탄' 읍내 차량시위

정부 조사 결과에 실망·분통 여전…피해 구제 신청 마쳐

뉴시스

[구례=뉴시스] 변재훈 기자 =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지난해 여름 섬진강 수해로 죽은 소의 원혼을 달래는 위령제가 열리고 있다. 2021.08.08. wisdom21@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례=뉴시스] 변재훈 기자 = 지난해 집중 호우 당시 섬진강댐 수위 조절 실패에 따른 수해로 키우던 소를 잃은 전남 구례군 주민들이 죽은 소의 영혼을 달래며 정부의 조속한 피해 배상을 촉구했다.

섬진강 수해 극복 구례군민대책본부·수해 참사 피해자 구례군비상대책위원회는 8일 오전 10시부터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에서 소 위령제를 열었다.

한우 축산 농가가 밀집한 이 마을은 1년 전인 지난해 8월7일부터 사흘간 350㎜ 넘는 폭우에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 제방이 무너지면서 물에 잠겼다. 당시 소 1000여 마리 등 가축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거나 폐사했다.

피해 주민들은 마을회관 앞에서 제상(祭床)을 차려 놓고 축문을 읽고 영문없이 죽어간 소들의 영혼을 달랬다.

위령제에는 김순호 구례군수, 서동용 의원도 참석해 추도사를 낭독했다. 또 씻김굿을 벌여 국가적 수해로 고통받는 주민들의 마음을 위로했다.

또 섬진강댐 수위 조절에 실패해 집중호우 당시 댐을 일방적으로 방류해 책임을 키운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뉴시스

[구례=뉴시스] 변재훈 기자 = 지난해 여름 섬진강 수해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5일 시장 일대에서 정부의 조속한 피해 배상을 촉구하며 차량 행렬 시위를 벌이고 있다. 2021.08.08. wisdom21@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령제를 마친 단체들은 각 농가에서 1t 트럭 등을 동원해 양정마을~구례군청~구례경찰서 앞~동광사거리~구례 오일시장 일대를 행진하는 차량 시위를 벌였다.

행렬은 '섬진강 수해 국가가 배상하라!' '수해 추석 전 배상하라!' 라고 적힌 현수막을 내건 트랙터를 시작으로 30여 대의 트럭이 길게 이어졌다.

각 트럭에는 소 먹이를 만드는 데 쓰이는 '곤포 사일리지'가 실려 있었다. 트럭 적재함마다 실린 곤포 사일리지에는 각기 '재발 방지', '수해 배상', '배상하라' '100% 배상' 등의 글귀가 적혀 있었다.

수해 당시 모든 입점 점포가 침수됐던 구례 5일시장에서 단체들은 차량 행렬을 잠시 멈추고 대정부 촉구 선언문을 낭독했다.

단체들은 선언문을 통해 "섬진강물이 점령군처럼 밀고 들어와 강변에 자리한 구례 읍내·마을 일대의 5일 시장, 가옥, 관공서, 논·밭 등 삶의 터전을 깡그리 초토화시키고 참담한 흔적을 남긴 채 빠져나갔다"고 외쳤다.

이어 "역사서 어디에도 기록이 없고 대대로 터전을 이루고 살아온 구례 사람들이 경험해본 적이 없는 물난리였다"며 "사람을 대신해 떼죽음 당한 소들과 뭇 생명들을 딛고 다시 섬진강변 자리로 돌아갈 수 밖에 없는 피해민들은 피눈물을 삼키며 1년을 꾸역꾸역 버티며 살아내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수해 1년을 앞두고서야 발표된 수해 원인 조사 결과는 엉터리였고, 정부와 정치권의 피해 배상은 단 1%도 없었다"며 "물 관리를 일원화하고 우왕좌왕하다 댐을 대량 방류해 발생한 대형 국가 재난사고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100%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추석 명절 전 피해 100% 배상 ▲배상 시 기존 지원금 공제 조항 삭제 ▲손해사정사 조사 100% 적용 등을 강력 촉구했다.

뉴시스

[구례=뉴시스] 변재훈 기자 = 지난해 섬진강 수해민들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5일 시장 일대에서 차량 행렬 시위와 수해로 죽은 소를 위로하는 퍼포먼스 등을 벌이며 정부의 조속한 피해 배상을 촉구하고 있다. 2021.08.08. wisdom21@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집중 호우에 따른 섬진강 범람으로 지역 10%가량이 잠긴 구례군은 공공·민간 부문을 통틀어 1807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수해 직후 구례군을 비롯한 섬진강 하류 지역 전남·전북·경남 7개 시·군 주민들은 댐 무단 대량방류에 따른 인재(人災)를 주장했고, 정부는 수해 원인 규명 용역 결과를 지난 3일 발표했다.

용역 조사에선 섬진강댐 지역에 유례없이 많은 비가 내린데다, 1965년 준공 이래 계획방류량을 50년 넘게 유지하는 등 구조적으로 홍수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다만 예비 방류, 홍수 조절용량 추가 확보, 단계별 홍수조절 결정 등의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았다는 점도 드러났다.

일부 인재의 성격이 있다는 조사 결과에도, 주민들은 실망감과 함께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5일 시장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48)씨는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 아니겠느냐"며 "이런 모호한 조사 결과로 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해선 안 된다"고 역설했다.

일각선 국가의 잘못과 수해를 야기한 관련 책임자가 명기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용역 결과 발표 이후 정부는 지난 4월 개정된 '환경분쟁조정법'에 따라 홍수 피해를 구제키로 했다. 분쟁 조정은 법정 기한인 9개월 이내에 처리할 계획이다.

이에 구례 주민 1818명은 손해사정 자문 결과를 토대로 1042억 원 규모의 피해 배상 신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

[구례=뉴시스] 류형근 기자 = 폭우가 쏟아진 8일 오후 전남 구례군 구례읍이 수중도시로 바뀌어 버렸다. (사진=구례군 제공). 2020.08.08.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