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부친 이어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김희수 씨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증조부부터 4대째 전통 나침반을 만들어 온 김희수(59) 씨가 부친 김종대(87) 씨에 이어 인간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명예보유자) 대열에 합류한다.
문화재청은 김희수 씨를 전통 나침반 '윤도'(輪圖)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한 장인인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했다고 4일 밝혔다.
김씨는 현재 유일한 윤도장 보유자인 아버지 김종대 씨로부터 기법을 전수해 약 40년간 나침반 제작 기술을 연마했고, 2007년 보유자 아래 등급인 전승교육사로 인정됐다.
인정 조사에서 김씨는 공정별 재료·도구 사용에 정통성이 있으며, 평철(平鐵·넓적하고 평평한 나침반)과 선추(扇錘·부채에 부착하는 휴대용 나침반) 제작 기술의 숙련도와 완성도가 높다고 인정됐다.
아울러 대추나무에 글자를 새기는 작업과 강철을 깎아 바늘을 만든 뒤 나침반에 얹는 기술이 매우 섬세하고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각종 기관에서 주최한 무형문화재 교육·체험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윤도를 알리고 전승하려는 의지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지난해 시작한 윤도장 보유자 인정 조사는 공모와 서면 심사, 현장 실사, 무형문화재위원회 검토 순으로 진행됐다.
윤도에 자침 얹기 |
천문학과 음양오행 사상 등 동양의 우주관과 세계관이 반영된 전통 과학도구인 윤도는 천문학이 발달한 삼국시대부터 사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조선시대에 널리 보급됐다. 뱃사람, 여행자, 농사꾼, 집터와 묏자리 등을 찾는 지관(地官)이 방향을 볼 때 썼다.
중앙 자침(磁針·나침반 바늘)을 중심으로 동심원 숫자에 따라 1∼36층이 있으며, 각 층에는 음양·오행·팔괘 등을 조합해 배치했다.
일반적으로는 특별한 장식이 없는 7∼9층 평철이 가장 많이 이용됐고, 조선시대에는 여름철 부채에 2∼3층 정도의 나침반인 선추를 달았다. 멋을 내기 위해 선추 표면을 아름답게 조각하기도 했다.
평철은 나무를 원통형으로 깎아 모양 만들기, 중심과 층수 정하기, 글자 새기기, 먹칠하기, 중앙원 다듬기, 옥돌 가루 칠하기, 주사(朱砂·붉은색 돌가루) 입히기, 자침 만들기 등 다양한 공정을 거쳐 제작한다. 특히 글자를 새기는 각자(刻字)는 윤도장 핵심 기술로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고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김희수 씨의 윤도장 보유자 인정 여부를 확정한다.
글자 새기는 각자 작업 |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