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다한증 치료제, 올바른 사용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절기상 대서(大暑)인 22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전력 사용이 올여름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상점이 냉방 중이지만 문을 연 채 영업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4일 여름철 야외활동 시 자주 사용하는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과 땀과다증(다한증) 치료제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했다.

벌레에 물렸을 때에는 상처 주위를 깨끗이 씻고 약을 바르는 것이 가장 좋다. 가렵다고 긁거나 침을 바르면 2차 감염을 일으켜 상처가 덧날 수 있다.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은 액상, 크림, 로션, 연고, 겔, 원형부착제 등의 제형으로 물린 곳의 가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국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은 디펜히드라민, 디부카인염산염, 멘톨, 캄파 등의 성분이 함께 사용된 복합제와 히드로코르티손이나 프레드니솔론아세테이트 성분이 사용된 단일제가 있다.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은 프레드니솔론아세테이트 성분을 1g당 3㎎ 포함하고 있다.

일반의약품 중 ‘캄파’ 성분이 사용된 제품은 30개월 이하의 영유아에게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의약품안전나라 사이트 내 ‘e약은요정보’ 주성분명에서 ‘캄파’ 입력 후 검색하면 해당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과다한 땀 분비를 억제하는 땀과다증 치료제는 피부 화끈거림이나 자극을 줄이기 위해 피부를 완전히 말린 후 사용해야 한다. 상처가 있거나 면도한 피부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액취방지제로 사용되는 데오드란트는 배출된 땀을 세균이 분해하면서 생기는 냄새를 제거하는 제품이며, 땀과다증 치료제는 아니다.

땀과다증 치료제는 일반의약품으로, 액상제제와 원형 부착제 등 제형이 있다. 액상제제는 겨드랑이, 손, 발에 사용되며 피부 땀샘에 젤리 형태의 막을 형성해 땀구멍을 막아 땀 배출을 억제하는 염화알루미늄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원형 부착제는 얼굴에 사용되며 땀 분비를 자극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방해해 땀 생성을 억제하는 글리코피롤레이트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땀과다증 치료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중추·말초 신경계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하는 항콜린제에 대한 과민반응 혹은 병력이 있는 환자, 녹내장 환자는 글리코피롤레이트 제제를 쓰지 말아야 한다. 광범위한 내과 질환이 땀과다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땀과다증 치료제 사용 전에 땀이 나는 부위와 증상을 잘 살펴서 필요할 경우에는 진료를 받아야 한다.

장윤서 기자(panda@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