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 환자 증가…10명 중 1명 복부비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 6천300여명 분석 결과

"무조건 절식보다는 안전한 칼로리 섭취와 운동량 교육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국내 소아·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지난 12년간 1.7%에서 2.2%로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복부비만과 고혈당인 소아·청소년이 10명 중 1명에 달할 정도로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김신혜 교수 연구팀은 2007∼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2∼18세 소아·청소년 6천308명의 건강검진 자료를 조사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좋은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혈중 수치 표준 이하, 중성지방 과다 등 세 가지 이상일 때 진단된다.

이 기간 국내 소아·청소년들의 복부비만은 8.1%에서 11.2%로, 고혈당은 5.3%에서 10.4%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혈중 HDL 콜레스테롤이 표준 이하인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은 22.4%에서 14.8%로 감소했다.

연구팀은 전체 칼로리 섭취가 늘어난 데 비해 일상생활에서 신체 활동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 기간 총 칼로리 섭취량과 지방 섭취량이 증가했고, 주 150분 이상 걷기 운동 실천율은 61.1%에서 45.7%로 감소했다.

박미정 교수는 "소아·청소년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은 성인으로 이어져 당뇨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며 "고혈당 유병률이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는 건 그만큼 우리나라 청소년 건강에 위험신호가 켜졌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김신혜 교수는 "대사증후군이 있더라도 청소년의 경우 무조건적인 절식을 통한 체중 감량은 영양 결핍과 성장 부진을 낳을 수 있"며 "의료진과 상담해 적절한 성장은 보장하면서 복부비만은 완화할 수 있는 안전한 수준의 칼로리 섭취량과 활동량에 대한 교육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Diabetes & Metabolism Journal) 7월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패스트푸드, 라면, 어린이 비만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jand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