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조선왕조실록에만 존재한 '양산 읍성' 성벽 기저부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문화재재단, 양산 중부동 268번지 유적 발굴

뉴스1

군현지도(1872년) 중 양산읍성부분.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조선왕조실록에서 존재했던 양산읍성 성벽의 기저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19일 한국문화재재단은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발굴 조사중인 경남 양산 중부동 268번지 유적지에서 양산읍성 성벽의 기저부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 문화재보호기금(복권기금)을 활용해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진행 중인 '매장문화재 소규모 발굴조사 사업'의 일환이다.

양산읍성의 축조와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1492년(성종 23년)의 "이 달에 경상도 양산읍성을 쌓았는데, 높이가 11척, 둘레가 3710척이었다"는 내용이다.

이 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과 양산군읍지(1878년)의 기록과 조선후기에 간행된 각종 지도 등을 통해 3대문(동·서·북문)과 성내에 쌍벽류, 객사, 동헌 등 건물이 온전히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13년 일제가 양산 지적도를 작성할 당시만 하더라도 읍성의 전체 둘레가 뚜렷이 그려져 있는데, 길이가 약 1500m 정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많은 읍성들이 대부분 그러했듯이 일제강점기에 양산읍성도 신작로 개설 및 매립 공사 등으로 인하여 광복이 될 때까지 대부분 허물어져 버렸다.

현재는 6~7개소에 부분적인 성터의 흔적만 남아있다고 양산 향토사학자들이 전하고 있다.

뉴스1

양산읍성 추정 외벽 지대석 세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1

출토유물. '전'(田)자명 암키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재단에 따르면 발굴조사 결과, 읍성 체성부의 지대석과 채움석 등 성벽의 기저부만 확인됐다. 서쪽은 모두 유실됐으며, 내벽석쪽의 가장자리와 상부의 벽체도 모두 유실됐다.

확인된 전체 규모는 길이 1436cm, 너비 235 ~ 270cm, 높이 64cm 정도이며, 방향은 '북동-남서향'이다. 지대석은 부지의 서쪽에서만 일부 확인되는데, 방향은 거의 '동-서(東-西)향'이며, 남쪽 경계 밖으로 연장된다.

지대석은 아래에 10~30cm 정도의 할석(割石, 깬 돌)을 깔아 지반을 견고히 한 후, 그 위에 크기 50~120cm 정도의 대형 석재를 사용하여 상면을 평평하고 견고하게 축조했다.

2열로 길이 580cm, 너비 120cm 규모로 확인됐으며, 읍성 외벽의 지대석으로 추정된다. 동쪽으로는 성벽 내벽 쪽으로 채웠던 50cm 정도 크기의 할석들이 2~3단 정도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서쪽 지정석 내부에서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10cm 내외의 암키와 편들이 소량 출토됐는데, '전'(田)자명 명문도 있다.

이번에 확인된 읍성 기저부 자리에서 북동쪽으로 약 120m 정도 떨어진 중부동 181번지에는 읍성 내벽 쪽 성벽(길이 15m, 높이 2m)이 잔존하고 있는데, 가장 잘 남아있는 부분이다. 두 성벽 자리는 일제강점기 지적도 상에 표시되어 있는 성(城)의 위치와 모두 일치한다.

박종섭 한국문화재재단 조사연구3팀 팀장은 "현재 양산읍성은 대부분 허물어졌지만, 이번 소규모 발굴조사에서 일제강점기 지적도상에 표시된 성(城)과 일치하는 성벽 기저부가 그대로 잔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는 향후 양산읍성의 남아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 위치와 흔적을 찾고,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발굴현장 공개는 20일 오후 3시에 현장에서 개최한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