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14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예전에 윤 전 총장이 (대선) 후보로 나오면 1시간만 줘라, 밑천을 다 드러내 보이겠다고 했는데 지금 보니까 시간을 너무 많이 드렸다. 1시간도 너무 많다”고 말했다.
그 이유에 대해 “검증할 정책이 하나도 없다. 대통령이 그럴싸한 이벤트와 행보만 하는 사람이 아니잖나. 국민이 보는 눈이 얼마나 높고 날카로운데 그저 저렇게 눈가림용으로만 행보해서 민주당 흉보고 문재인 대통령 비판하는 걸로 자기 표가 될 거라고 생각하고 그 지지율이 유지된다? 천만의 말씀”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히려 정치적 중립이 요구되고 보장되는 검찰총장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나와서 정권과 갈등 국면을 이용해서 정치적으로 악용했다는 측면에서 두고두고 비판 대상이라고 생각한다”며 “검찰을 아예 정치 중립의 장에서 정치 한복판으로 끌고 와버린 역사적 과오만 지적될 거라고 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30분 정도면 될 것 같다”며 “검증할 정책도 없는 게 가장 우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 여론조사가 시작된 지난 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박용진 의원이 대선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당 대선 경선 예비후보들의 TV토론, 국민면접 과정에서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각을 세웠던 박 의원은 ‘난 이재명 지킴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제가 삼성총수 일가의 불법행위를 (지적하니까) ‘삼성 저격수’라고 자꾸 그러기에 오히려 나 때문에 삼성이 잘될 거다, ‘삼성 지킴이’라고 했다. 예비경선 본경선 마찬가지다. 정책을 서로 검증하고 누가 더 자격 있는 후보인지 논쟁하는 것이 내부 경선 과정에 꼭 필요한 과정, 절차”라고 말했다.
그는 “그런데 그걸 했다고 이재명 저격수라고 그러기에 나중에 어찌 될지 모르지만 혹시 이재명 후보가 민주당 후보가 되면 박용진의 검증 과정과 토론 과정이 약이 될 거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불안한 이재명, 그저 그런 이낙연으로 가면 대선 승리가 어렵지 않겠느냐, 안정감 있고 실력 있는 박용진으로 가자고 반복적으로 말씀 드리려고 한다. 그럼 국민들께서 비교해서 보실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민주당의 또 다른 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의 지지율 반등 추세에 대해선 “그 분이 지금 한 10 몇%대 올랐다고 그러는데 원래 40 몇%대 계셨던 분 아닌가”라는 반응을 보였다.
박 의원은 “국민들께서 이미 (이 전 대표가) 총리를 하던 시절에 어떤 정책을 썼고 어떤 말씀했고 당 대표할 때 어떤 결정을 했는지를 다 보셨다”며 “그래서 지난 토론회 때 제가 (이 전 대표에게) ‘부동산 정책 실패했다고 그러셨지 않느냐. 그런데 그 전쟁에 김현미 (국토부) 장관보다 더 높은 결정 단위에 있었던 분인데 총리로서 이 부동산 전쟁에서 패배한 장수 아니시냐. 그런데 또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내가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똑같은 정책을 가지고 나오면 국민들이 그저 그런 정책이다, 그저 그런 후보다 이렇게 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했다.
그는 “어떤 정책을 적극적으로 내놓기보다는, 그분의 전략적 선택을 봤는데 사면론으로 곤혹을 치르고 또 우리 당헌·당규 고쳐서 후보 내는 걸로 패배를 자초하고 이런 선택을 해왔던 후보가 제대로 된 대선 승리를 만들 수 있다 약속할 수 있느냐, 우리 내부에서의 누가 1등이냐에 대해서 눈에 띌 수 있을지 모르지만 국민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건 좀 어려운 상황을 만들지 않겠느냐는 측면에서 그저 그런 후보다, 국민들에게 식상한 후보”라고 평가했다.
박 의원은 또 “(이 전 대표가 차기 대선주자로서) 이미 압도적 1위 단독 1위였던 분이었다. 왜 여기까지 왔는지, 지금 반등의 의미는 뭔지, 본인이 잘해서인지 아니면 이재명 후보의 불안함이 증폭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인지 그러면 이낙연 후보가 대선 승리의 카드가 되는 건지, 이게 중요한 것 아니겠는가?”라며 “누가 파격적이고 누가 필승카드인지가 중요하지, 우리끼리 내부에서의 도토리 키 재기, 시소게임으로 바라보는 건 별로”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