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경북도, 고수온·적조 피해최소화 총력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 기관별 추진상황 점검

파이낸셜뉴스

경북도청 전경.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는 9일 오후 환동해지역본부 회의실에서 도내 연안 시·군, 동해수산연구소, 해경, 수협, 어업인 등 25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수온·적조 대응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기관별 대응대책, 준비상황 점검과 앞으로 중점 추진대책을 공유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체계 구축 협력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엘리뇨 발생 없이 평년보다 강한 대마 난류 영향으로 평년보다 수온이 0.5∼1℃ 높아져 7월 하순께 고수온 및 적조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도는 피해 최소화를 위한 민·관 대응체제 구축, 어업재해 총력 대응, 신속한 피해복구와 경영안정 지원 등 단계별 대응계획을 세워 추진 중이다.

도의 고수온피해는 2019년 8월 피해를 입었으며, 2020년도에는 긴 장마와 잦은 태풍의 영향으로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다.

적조발생은 2013년부터 점차 줄어들어 2015년을 마지막으로 발생했으며, 2016년 이후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도는 올해 첫 적조로 무해성 적조인 녹티루카적조가 포항시 연안을 중심으로 발생된 만큼 더욱더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실시간 수온정보를 어업인에게 전파해 사전예방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적조·고수온 대비 국·도비예산 8개 사업에 33억원을 신속집행 완료했다. 또 적조 방제용 황토 2만3506톤과 전해수 황토살포기 1대, 방제바지선 1척, 액화산소 515톤, 산소공급기, 순환펌프 등의 방제장비를 준비하고 있다.

이영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올 여름은 0.5~1.0℃ 수온상승이 전망되고 있는 만큼 사전에 대응요령을 숙지하고 민·관 합동으로 철저한 위기대응관리를 해야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대책에 따라 고수온·적조에 차질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현재 경북 도내 입식양식장 76개소(가두리 9, 축제식 3, 육상수조식 64개소)에서 강도다리, 조피볼락, 넙치, 돔류, 전복 등 1629만 마리를 양식 중이다.

특히 강도다리, 조피볼락 등은 전체 양식어류 중 88%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수온에 약한 어종으로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