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궁 관련한 하급 관리, 궁녀, 군인들이 주로 이용 추정
유입된 물이 분변과 섞이며 분변 발효 촉진 "현대 정화조와 유사"
경복궁 대형 화장실 유적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복궁에서 지금과 유사한 정화시설을 갖춘 대형 화장실 유적이 발견됐다. 조선 궁궐에서 화장실 유구(遺構)가 나오기는 처음이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경복궁 동궁 권역 남쪽에서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네모꼴 석조 구덩이를 찾았다고 8일 전했다. 규모는 길이 10.4m, 너비 1.4m, 깊이 1.8m다. 연구소는 '경복궁배치도', '궁궐지' 등 문헌과 토양에서 검출한 기생충 알(g당 1만8000건), 씨앗 등을 근거로 약 150년 전 조성된 화장실 유적이라 규정했다.
문헌에 따르면 경복궁 화장실은 최대 75.5칸이 있었다. 주로 궁궐 상주 인원이 많은 지역에 밀집돼 있었다. 연구소 관계자는 "경회루 남쪽의 궐내각사와 동궁 권역을 비롯해 현재의 국립민속박물관 부지 등에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화장실 유구 북쪽 입수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에 발견된 화장실은 동궁 권역 중에서도 남쪽에 있다. 동궁과 관련한 하급 관리, 궁녀, 군인들이 주로 이용했다고 추정된다. 고종 때 경복궁 중건 과정을 기록한 '영건일기'와 가속 질량분석기(AMS)를 이용한 절대 연대분석, 토양층의 선후 관계 등으로 미루어 1868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 마련돼 약 20년간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동궁 권역 건물들은 고종 5년(1868) 완공됐으나 일제강점기인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장이 들어서면서 크게 훼손됐다.
경복궁 화장실 유적은 바닥과 벽면을 모두 돌로 마감해 분뇨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해 분뇨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현대식 정화조 기법을 적용했다.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入水口) 한 개와 빠져나가는 출수구(出水口) 두 개를 설치했는데, 입수구 높이가 출수구보다 낮다.
기생충알(편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소 관계자는 "유입된 물이 화장실에 있는 분변과 섞이면서 분변의 발효를 촉진하는 동시에 부피를 줄여 바닥에 가라앉히는 기능을 한 것"이라며 "분변에서 분리된 오수는 정화수와 함께 출수구를 통해 궁궐 밖으로 배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뇨 침적물에 물 유입, 분뇨 발효와 침전, 오수와 정화수 배출 순으로 이뤄진 현대 정화조 구조와 유사하다"고 말했다.
문헌에 따르면 화장실 규모는 4~5칸이다. 한 번에 최대 열 명이 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 관계자는 "1인당 1일 분뇨량(1960~80년대 기준 평균 1.2L) 대비 정화시설 전체 용적량(16.22㎥)으로 보면 하루 150여 명이 사용할 수 있었다"면서 "물의 유입과 배수 시설이 없는 화장실보다 다섯 배가량 많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