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의 대화 통로 막힌 일본 정부 입장에선 큰 타격"
연내 개최 가능성 있지만 코로나 상황 고려하면 어려울 듯
교도통신은 27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동북아시아 안보 문제를 논의하는 울란바토르 대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2년 연속 열리지 않게 됐다고 보도했다.
2014년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시작된 이 행사는 북한과 일본 외에 한국, 중국, 미국, 유럽연합 (EU) 대표 등이 참가한 가운데 2018년까지 매년 6월 개최됐다.
북한은 이 회의에 외무성의 싱크탱크 간부를, 일본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참사관급을 대표로 각각 파견했다.
북일 대표는 2017년과 2018년 이 회의를 계기로 양자 접촉을 하기도 했다.
당시 일본 측은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개발 및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한 입장을 직접 전달했다.
2019년 회의는 북한 측이 불참해 양자 접촉이 실현되지 않았고, 작년 회의는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 때문에 취소됐다.
2014년 8월 미얀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각료회의에서 대면한 기시다 후미오 당시 일본 외무상(왼쪽)과 리수용(오른쪽 안경 쓴 인물) 당시 북한 외무상.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울란바토르 대화를 북한과 직접 접촉하는 채널로 활용해 온 점을 들어 올해 행사가 무산되면 북한과의 대화 통로가 막힌 일본 정부 입장에선 큰 타격이라고 전했다.
일본 외교 소식통은 교도통신에 연내 개최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몽골 내의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의 외교정책을 답습하고 있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는 작년 9월 취임 이후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무접촉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해결할 납치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응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 총리실(관저) 관계자는 스가 내각 출범 이후 북일 간 양자 접촉이 실현되지 않고 있다며 양국을 이어줄 '유효한 파이프'가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도통신은 연내에 북한이 회원국으로 참가할 국제회의로 올 8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각료회의가 예정돼 있지만 작년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형식으로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parksj@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