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출범
2년 2개월 토대 만든 최기주 전 위원장
길을 여는 인생, 광역교통 ‘컨트롤타워’ 기반 다져
눈뜰때마다 “대광위 왜 필요한가” 스스로에게 질문
교통계 BTS(급행버스·환승·시스템)도 만들어
“대광위 위원장 경험 통해 절차적인 지식 알게 돼”
혁신산업 집중된 수도권 신도시 “신중히 고려해야”
최기주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019년 3월 출범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초대 위원장에 취임해 2년2개월간 대광위의 토대를 만들었다. 그는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학계에서 배우고 경험한 것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대광위 위원장을 경험한 건 행운이었다”고 말했다. [사진=박해묵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9년 초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출범을 앞두고 초대 위원장(차관급) 자리에 누가 오를 지를 두고 세간의 관심이 컸다. 대광위는 5개 대도시권 광역교통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자리. 이때문에 국토부 출신 공직자를 비롯해 학계 전문가 등 여러 인물이 물망에 올랐지만 적임자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결국 수차례 논의 끝에 첫 위원장 자리는 교통정책 분야 전문가인 최기주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에게 맡겨졌다.
최 교수는 오직 세평의 덕(?)으로 취임했다고 했다. “대선캠프 등에 들어간 적도 없고 소위 중앙정부 중요한 직책에 대한 지분도 없었어요. 저는 오직 학자로서의 전문성만으로 위원장에 오르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지난 30여년 간 학계에서 정부 교통정책을 자문하고 대안을 제시해온 대중교통 정책 전문가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최 교수는 대광위 출범에 대해 “또 한번 길을 연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유독 첫 시작과 인연이 깊다. 용산중학교 졸업 후 신설 고등학교(서울 우신고 4회)에 진학해 서울대 신설학과(도시공학 전공)에 들어갔다. 유학에서 돌아와 얻은 첫 직장인 서울연구원도 공채 1기이고, 2년 후 교직에 들어선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도 새롭게 생긴 학과였다.
그는 작가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가지 않은 길’을 지금도 간혹 읽곤 한다고 했다. “두 갈래 길이 숲 속으로 나 있었다. 그래서 나는 사람이 덜 밟은 길을 택했고, 그것이 내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는 내용이다. 그는 “이 시는 내 삶과 닮았다. 난 길을 여는 인생을 살았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2019년 3월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수도권 지역 교통 체계의 효율화 증진과 비수도권(부산울산경남·광주전남·대전세종충청·대구경북)의 광역교통서비스 확대”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그로부터 2년2개월 후 그는 대광위를 떠나 최근 교단으로 돌아갔다.
광역교통 컨트롤타워인 대광위의 토대를 만들었다고 평가받는 최 교수를 최근 서울 용산구 후암동 헤럴드경제 본사(헤럴드스퀘어)에서 만났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았던 최기주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 [사진=박해묵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연구원 공채 1기로 시작…“하고 싶은 연구를 위해” 교단으로1992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현 서울연구원)이 설립될 때 최 교수는 공채 1기로 입사해 첫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1992년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교통계획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들어온 직후였다.
그는 “30년 전인 1990년대 초와 현재를 비교해보면 서울 내 시설 증가는 지하철 외에는 별로 없다”면서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도 예전 모습 그대로 있는 등 지속적인 투자를 안한 것”이라고 아쉬워 했다.
2년 후 연구원직을 내려놓고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교수가 된 건 “하고 싶은 연구를 하기 위해서”였다고 강조했다.
교수가 된 이후엔 교통수요 예측, 교통체계분석 등 교통에 관련한 여러 연구를 진행했다. 2010년부터 아주대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방식) 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연구센터 소장을 맡아, 기후변화에 대응할 엔지니어링적 해결방안 등도 찾고 있다.
그는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재편, 요금·환승 정책 등을 비롯해 대도시권 지자체간의 철도·도로 교통운영 등에 대한 조정이 대광위의 핵심적인 사업영역”이라고 설명했다.
2년 넘게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은 대광위에 고스란히 남았다. 대광위는 2019년 중장기 정책방향인 ‘광역교통2030’을 발표해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제시, 위례트램 도시철도 조기 개통, 급행광역버스(BTX) 도입 등 약 150여개의 프로젝트를 탄생시켰다. 작년에는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이니셜을 모방해 BTS3 사업을 진행했다. 대도시권 출퇴근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버스(Bus, 급행버스 등)와 환승(Transfer), 시스템(System, 통합요금제도 등)’의 혁신을 의미한다. 올해 들어서는 광역교통 기본계획, 시행계획,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계획, 환승센터계획 등 각종 법정계획을 마무리 짓고 있다.
오는 9월부터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알뜰교통카드도 그가 교통비 절감을 위해 노력을 기울인 사업이다. 알뜰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시 이동 거리에 비례해 교통비 일부를 마일리지로 지급(20%)해 큰 호응을 얻었다.
광역 교통은 여러 지역 사회와 지자체 등의 이해가 상충해 의견 조율이 쉽지 않다. 버스 요금인상, 철도의 직결과 환승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경기도의 의견이 갈린다. 철도의 계획단계에서도 갈등이 생겨난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와 GTX 노선의 역사 추가 논란이 대표적이다.
쟁점이 된 사안에 대해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상호 존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는 “정부의 초안 제시에 전문가, 국회, 시민단체 등 핵심적 이해당사자들이 피드백을 주고 다시 정부가 확정고시하는 방향이 대부분 선진국의 의사결정 과정”이라며 “그러나 우리의 경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너무 과격하게 반응하면서 사회 전체적인 관점에서 타당성을 잃는 게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점들을 제도적 장치 등으로 확립하지 못한 게 아쉽다고 했다. 그는 “대광위가 하기보다 예타 제도의 변화 등을 통해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학교에서 선언적인 지식을 배웠다면 대광위를 겪으면서 법과 예산, 지자체와의 협의 등 절차적인 지식도 알게 됐다”면서 “학교에서 알게 된 지식이 전부 현실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에게 백지 상태에서 새롭게 교통망을 설계한다면 어떻게 하고 싶은 가를 물었다.
최 교수는 “먼저 GTX망을 깔아놓고 그 거점들을 중심으로 연계 교통 체계를 만들고, 그 사이를 자율주행 셔틀이 다니게 할 것”이라면서 “교통망이 부족한 곳은 경전철이나 버스 노선을 추가하면 된다”고 답했다.
25만 가구 공급이 예정된 3기 신도시(교산·창릉·왕숙·대장·계양·광명시흥) 계획에 대해선 2기 신도시 입주 당시보다 교통 여건이 나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先)교통·후(後)입주, 대중교통 중심 등 2개의 원칙 아래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신도시 발표와 교통 개선 대책 마련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돼 입주와 철도 개통 시점의 차이는 어느 정도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다만 3기 신도시는 교통 대책이 같이 발표돼 다소 시간을 단축시키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통을 더욱 앞당기기 위해선 신도시 교통시설은 도시개발과 같이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생략하고 추진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그의 소신도 분명했다. 그는 “더 이상의 수도권 신도시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며 “왜냐하면 혁신 산업 및 인력이 수도권에만 너무 몰리는 게 바람직하기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교통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교통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의 교육과 연구도 이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면서 “고시제도 역시 교통학, 도시계획학 등 인문학적 소양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교단으로 돌아온 최 교수는 이제 강의와 연구에 전념할 계획이다. 그는 “교통체계의 효율·급행·환승편의·친환경·다양화 등 추진한 정책이 많았는데, 이젠 뒤에서 이런 학술적 이론을 더 개발하고 성숙시키는 축적의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고 말했다. 늘 새로운 길을 걸어온 그가 이제 어떤 길을 만들어 갈지 사뭇 궁금해졌다.
[대담=권남근 건설부동산부장·정리=민상식 기자]
〈‘동분서주’ 국제회의서 남다른 영어 스피치…학창시절엔 영자신문 스크랩〉
2019년 11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던 ‘제10차 한-아세안 교통장관회의’에 참석한 최기주 초대 대광위 위원장(맨 오른쪽 가운데) 모습. [최기주 초대 위원장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위원장에 오른 직후 각종 국제 행사에 참여해 세계 각국의 정책 입안자 및 전문가들을 만나 논의한 바쁜 시기였습니다.”
최기주 초대 대광위 위원장(현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은 2019년 한 해를 국제회의로 동분서주한 시기로 기억한다. 최 초대 위원장은 2019년 3월 대광위 위원장에 오르자마자 여러 국제 행사에 참여했다.
2019년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교통포럼(ITF)을 시작으로 같은 해 10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세계도로대회(WRC)에 참석했다. 당시 최 전 위원장은 세계 곳곳에서 온 장·차관들과 미래교통 네트워크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같은 해 11월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던 ‘제 10차 한-아세안 교통장관회의’에 참석해 각국 인사들과 대화를 나누고 영어 연설을 했다. 그의 연설을 두고 협력과 소통을 강조한 담화였다는 호평이 쏟아졌다.
2009년 시작된 한-아세안 교통장관회의는 한-아세안 회원국 간 인적·물적 교통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행사다.
2019년 11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던 ‘제10차 한-아세안 교통장관회의’에 참석한 최기주 초대 대광위 위원장(오른쪽) 모습. [최기주 초대 위원장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뛰어난 영어 실력 및 국제 감각의 비결에 대해 묻자 최 초대 위원장은 “중학교 시절부터 영자신문을 구독했을 정도로 영어에 관심이 많았다”고 답했다.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부터 서울에서 다녔습니다. 용산중 재학 시절엔 영어와 글쓰기에 관심이 많았어요. 영자신문 코리아헤럴드를 자주 보고 스크랩도 했고, 특히 용산중을 다닌 덕분에 (주한미군 용산기지의) 미군들과도 얘기할 기회가 많았었죠.”
그는 당시 백일장을 휩쓸었을 정도로 문학에도 관심이 많은 시기였다고 회상했다. 그는 “책 읽는 걸 좋아했는데 용산중 3학년 때 ‘고궁’이라는 시를 써서 장원을 받았다”면서 “도시·교통 공학을 전공하지 않고 문과로 갔으면 영화감독이 됐을지도 모른다”고 웃으며 말했다.
교수가 된 이후엔 영어 논문도 많이 썼다. 그는 “2000년대 초반부터 강의를 영어로 해왔는데, 안식년일 때 외국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최 초대 위원장은 2년 2개월간 대광위의 토대를 만들고 최근 교단으로 돌아왔다. 그는 대광위 시절 추진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 연구에 전념할 계획이다.
특히 본인이 창간한 영문 학술지 활동에도 집중할 생각이다. 최 교수는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진 영문 학술지 IJST(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지속가능교통 국제저널)를 직접 만들고 현재 편집장도 맡고 있다.
그는 “1999년부터 준비를 해서 2007년에 IJST를 런칭했는데, 홍콩대학교 토목공학부의 젊은 학자인 웡(S.C. Wong) 교수를 영입해 운영 중”이라면서 “전 세계의 교통 학자들이 주목하는 학술지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상식 기자
m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