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쿠팡 탈퇴’ 움직임 확산… “사고 대응 방식 부적절” 문제 제기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이천시 쿠팡 물류센터 화재 사고를 계기로 쿠팡의 사고 대응 및 노동환경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쿠팡 탈퇴·불매’ 운동이 확산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쿠팡 어플리케이션(앱)·홈페이지에서 이번 화재 관련 공지문을 찾아보기도 힘들다며 쿠팡의 사고 대응 방식을 지적하고 나섰다.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쿠팡을 탈퇴하고 쿠팡 앱을 삭제했다”면서 이번 화재와 관련해 쿠팡을 비판하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번 화재 사고 진압을 위해 투입됐다가 고립·실종된 고 김동식 경기 광주소방서 구조대장이 화재 발생 사흘째 날이었던 전날 오전 숨진 채 발견된 이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트위터엔 ‘쿠팡 탈퇴’라는 키워드가 전날 오후 실시간 트렌드 순위에 오르기도 했으며, 현재까지도 ‘노트북 켠 김에 쿠팡 탈퇴했다’, ‘그간 불매 중이었는데 아예 탈퇴해버렸다’는 등의 글이 게시되고 있다. 일부 이용자들은 쿠팡 탈퇴 방법을 적은 게시글을 공유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쿠팡 앱에 들어가 보니 앱 메인화면 어디에도 화재와 관련된 내용은 없다”면서 “인명사고가 발생된 기업의 큰 사건인데, 어떻게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운영하느냐”며 쿠팡의 대응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기도 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쿠팡 앱 홈에는 이번 화재사고와 관련한 안내 문구 등은 없으며, 인터넷 홈페이지에선 별도로 ‘쿠팡 뉴스룸’ 페이지에 들어가야 입장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다.

쿠팡은 사고 발생 32시간만인 지난 18일 오후 강한승 대표이사 명의의 공식 입장문을 발표했으며, 전날에는 임직원 명의로 김 구조대장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했다. 이날에는 김 구조대장 유족에 대한 지원 방안과 이번 화재로 일터를 잃은 쿠팡 직원들을 위한 대책 등을 발표했다.

세계일보

지난 17일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쿠팡 덕평물류센터가 20일 폭격을 맞은 듯 뼈대를 드러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쿠팡 탈퇴 움직임은 더욱 확산하고 있다. 이번 화재사고에 대한 쿠팡측 대응을 향한 불만과 더불어 그동안 쿠팡을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실망감이 동시에 표출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앞서 쿠팡은 지난해 5월24일 부천 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했을 당시에도 홈페이지에 별다른 공식 공지나 안내를 하지 않다가 비판이 거세지자 같은 달 28일에서야 문답형식의 고객 메시지를 홈페이지에 띄운 바 있다. 당시 비슷한 시기 물류센터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던 마켓컬리 측이 곧바로 대표 명의의 사과문을 냈던 것과 대비되면서 소비자들로부터 지탄을 받았다.

쿠팡을 둘러싸고 꾸준히 지적돼 온 열악한 물류센터 노동환경도 이번 쿠팡 탈퇴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노동계를 중심으로 쿠팡이 ‘빠른 배송’을 강조하다 보니 물류센터 근무자들에게 지나친 노동을 강요한다는 문제 제기가 계속된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물류센터 화재가 발생하며 소비자들의 분노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물류센터에서 근무하던 노동자들이 화재 위험성 등을 계속 지적해왔는데도, 회사 측에서 안일하게 대응해 결국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지난 18일 공공운수노조 전국물류센터지부 쿠팡물류센터 지회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화재위험이 높은 전기장치에 대한 문제는 쿠팡물류센터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계속 지적해왔던 부분”이라며 “화재와 노동자 안전에 대한 쿠팡의 안일한 태도가 이번 사고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진화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합동 현장 감식을 벌여 정확한 화재 경위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