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 등이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지난해부터 국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에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6월 현재까지 백신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올해 새로 집행한 예산은 없는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정부가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관련 프로젝트를 공모했지만, 신청한 기업 7곳이 모두 탈락한 탓이다. 정부가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바이오 기업을 육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봉민 의원실이 이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통해 올해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책정된 687억원의 집행 내역을 확보한 결과, 셀트리온에 ‘렉키로나’ 임상지원비 271억원을 지원한 것을 제외하면 신규 집행된 내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 셀트리온이 ‘렉키로나’ 임상 비용 등으로 55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으나, 지난해 예산 부족으로 279억원을 선(先)지급하고 올해 예산에서 271억원을 내줬다. 결국 정부가 올해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개발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으면서 새로 예산을 지원한 기업이나 프로젝트를 발굴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정부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1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관련 예산을 지원할 신규 프로젝트 신청을 받았으나, 신청한 기업 7곳 모두 탈락했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큐라티스가 응모했다가 탈락했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이뮨메드, 부광약품, 녹십자웰빙도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지난해 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비로 74억원을 지원받은 진원생명과학이 올해 코로나 치료제로 응모했으나 선정되지 못했다. 정부의 두 차례 공모에 바이오 기업들이 줄줄이 탈락한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정부 지원 ‘백신과 항체치료제’ 기술 개발의 벽이 높다는 얘기가 나온다.
제약⋅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에서 올해 접수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를 평가한 결과 성공 가능성이 작다고 본 것”이라며 “그만큼 바이오 신약 개발 현실이 녹록지 않다는 뜻”이라고 했다.
최근까지 ‘백신 주권’을 외치던 것과 달리 정부 지원은 소극적으로 변했다는 지적도 있다. 홍남기 국무총리 권한대행은 지난 4월 28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백신 수급 문제의 근본 해법은 백신자주권의 확보, 즉 국내 백신의 개발이다”라며 “(국산 백신 치료제 개발에) 올해 예산 687억원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25일까지 3차 추가 접수를 받고 있지만, 업계에선 3차 신청 기업 실적이 저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은 늦더라고 ‘백신 주권’을 가져야 한다고 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백신과 치료제 시장을 빠르게 선점해 나가는 상황에서 후발주자로 개발에 나서는 것은 실익이 없다”고 했다. 코로나19 백신은 물론 치료제도 다국적 대형 제약사가 줄줄이 신약을 내놓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와 비교해 정부 R&D 예산 지원이 소극적으로 바뀌면서 제약사들 사이에서는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치료제 개발은 포기하는 것이 낫다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며 “최근 변이 바이러스가 출몰하면서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아쉽다”라고 했다.
김명지 기자(maen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