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어려움을 해소하려면 '데이터 거버넌스' 방식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가칭 '국가 의료 빅데이터 위원회'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현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는 9일 개막한 '바이오코리아 2021' 컨퍼런스에서 “다양한 의료 데이터 현안을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 거버넌스 도입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사무국을 맡는 '국가 의료 빅데이터 위원회'를 설치해 의료 데이터 접근, 교환, 활용을 증진하는 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정책이나 표준을 심의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데이터 3법 개정 후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을 공표한데 이어 해당 분야 공공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아직 병원과 기업은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보건의료 데이터가 활발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날 좌장을 맡은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데이터 3법 개정이 큰 의미가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이나 실제 사례 기반 사례가 부족하고 관련 전문 컨설팅 기관도 부재한 상황”이라면서 “병원이나 보건의료 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안고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려운 부분이 여전히 많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데이터 거버넌스를 “전략적 자원인 데이터를 관리하고 보호하는데 필요한 사람, 프로세스, 기술을 조화시키는 문화적 전환”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요소로 데이터의 효과적 활용을 보장하는 정책,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하는데 준수해야하는 표준, 실제 현장에서 활용 방향을 보여주는 시행규칙의 세 가지를 들었다.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 통합형, 분산형, 연계형 A·B 등 네 가지 모델을 소개했다.
박 교수는 “과거에는 병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보험청구 데이터 정도였지만 현재는 모바일, 웨어러블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환자들이 직접 입력하는 데이터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새로운 기술도 계속 도입된다”고 전했다.
박 교수는 “의료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다양한 법과 정부 규제도 관여하고 데이터가 각 병원, 과별로 유기적으로 연결돼있지 않아 이를 표준화하고 구조화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 거버넌스가 어느 분야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하는 바이오코리아 2021은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된다. 53개국 68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약 2만명 이상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올해 행사는 뉴노멀 시대에 바이오헬스산업 기술의 혁신 변화와 대응 방향을 살펴본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