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옥석가리기…20곳 마저도 퇴출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암호화폐 거래소 비공개 간담회 열어

특금법 신고 관련 컨설팅 진행

은행권, 여전히 실명계좌 제휴 꺼려 '무더기 폐업' 가능성↑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진호 기자] 가상화폐 사업자 관리·감독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가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를 소집했다. 지난달 28일 정부의 ‘가상화폐 거래 관리방안’이 발표된 이후 첫 행보다. 특정금융거래정보법 시행에 앞서 신고·등록 컨설팅을 위해 마련된 자리지만 은행권이 여전히 제휴를 꺼리고 있어 ‘무더기 폐업’ 가능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전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 20곳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가상화폐 사업자 관리를 위한 정부 입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향후 제도 개선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최근 기자들과 만나 "(신고된 거래소라는) 틀 안에 들어오면 자연스럽게 투자 자금이 보호된다"고 강조한 만큼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주목할 만한 점은 간담회에 참석한 가상화폐 거래소가 20곳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가상화폐 거래소가 20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소수 거래소만 금융당국의 초대를 받은 셈이다.


이들 거래소의 공통점은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한 곳이다. 특금법에 따라 가상화폐 사업자는 9월24일까지 ISMS 인증과 은행에서 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입출금계정을 확보해 신고해야만 한다.


일정 요건을 충족한 거래소만 간담회에 부른 것을 두고 업권에서는 금융위가 가상화폐 관리·감독의 첫 행보로 옥석가리기에 나섰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자금세탁 방지 역량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영세한 업체가 너무 많고 어느 정도 규모가 있다고 해도 까다로운 신고 요건을 갖추기 쉽지 않은 상황을 반영했다는 것이다. 실제 특금법 유예 기한이 3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신고를 마친 거래소는 전무하다.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업계에 사실상 대마불사 원칙을 적용해 열악한 중·소형 거래소의 정리를 유도하는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비중이 절대적인 이들 거래소만 살려도 시장에서 제기되는 무더기 거래소 폐업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다만 금융당국의 컨설팅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금법 유예 기한이 끝나는 9월 말 가상화폐 거래소 가운데 상당수가 무더기로 문을 닫을 것이란 우려는 여전하다. 열악한 중·소형 거래소의 경우 ISMS의 85개 평가 항목을 통과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ISMS 인증을 획득한 거래소라 하더라도 은행권과 실명계좌 발급 제휴를 맺는 것은 여전히 힘든 과제다.


ISMS 인증과 은행권 실명계좌 발급 제휴 등 특금법상 신고 요건 두 가지를 모두 채운 곳은 현재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4곳에 불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거래소와 제휴를 맺고 있지 않은 은행(KB국민·하나·우리은행)들은 향후 제휴 계획이 없는 방향으로 내부 의견을 모은 상황"이라며 "고객 유치 효과도 있지만 자금세탁·해킹 등 금융사고 위험 부담이 크다는 인식 때문"이라고 전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