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고품질 보건의료 데이터 축적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5개년 발전 전략을 처음 수립했다. 정책 추진체계 정립과 의료 스타트업 전주기 지원 등으로 데이터 기반 미래의료를 구현하고 산업 혁신을 도모한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까지 향후 5개년 계획이 담긴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수립해 3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12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보고했다.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와 병원 임상 빅데이터 등을 포괄하는 보건의료 데이터는 의료기술 혁신이나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활용 가치가 높지만 낮은 데이터 표준화·품질관리, 개인정보 침해 우려 등으로 실제 활용도는 낮다.
정부는 최근 '데이터 3법' 개정과 함께 개인정보 활용 관련 사회적 인식이 성숙되고 디지털 뉴딜 핵심과제 반영으로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 추진동력이 확보됐다고 판단했다. 혁신전략을 통해 데이터 생산, 집적, 활용 전 주기에 걸친 3대 분야 9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 개요 (자료=보건복지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선 양질 데이터 생산을 위해 위암, 대장암, 폐암 등 한국인 호발암종,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등 현장 요구가 많고 활용성 높은 분야를 표준화한다. 병원, 기업 등 다양한 기관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공유,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를 현재 연 1000건에서 2025년까지 5000건으로 확대한다. 'K-캔서' 등 한국인 특화 빅데이터를 단계 구축해 질환 예측모형 개발 등 임상연구와 맞춤형 질병치료를 촉진한다.
유전체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을 완성할 계획이다. 100만명 규모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 맞춤형 치료·정밀의료 등에 활용하고 임상·유전체·건강보험·개인건강기록(PHR) 등과 연계해 국가 전략자산화를 추진한다. 민간에서 접근하기 어려웠던 병원 임상데이터는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을 기반으로 산·학·연·병 공동 연구를 활성화한다.
데이터 중개·분양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데이터 제공과 활용 기관을 중개해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쓸 수 있도록 컨설팅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 의료데이터중심병원 등을 '안심분양센터'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화 지원을 위해 의료 AI 스타트업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병원 중심 의료 AI 특화 개방형 실험실 구축·운영 등 우수 AI 모델에 대한 다양한 임상 실증과 창업을 지원하는 동시에 의료 AI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한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생태계를 갖추는 것은 환자 치료 등 의료혁신, 신약개발 등 산업혁신, 국민 권익 증진 등 사회혁신을 가속화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