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복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의 다양한 복식 보여줘

조선 여성 염습 과정 등 전통 장례 방식도 엿볼 수 있어

아시아경제

단령형원삼 대대(구성이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 중기 여성의 복식문화와 상·장례 풍습이 담긴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이 2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됐다. 2010년 5월 경기 오산 가장산업단지 공사 현장에서 여성 미라 두 구와 함께 출토된 복식 96건, 124점(구성이씨 41건 51점·여흥이씨 55건 73점)이다. 두 묘에서 출토된 명정(銘旌·죽은 사람 신분을 밝히기 위해 품계, 관직, 성씨 등을 적은 것)에 따르면 미라는 조선 사대부 남성의 첫째 부인(구성이씨)과 둘째 부인(여흥이씨)으로 추정된다. 작고 당시 남편의 관직 품계가 각각 9품과 6품으로 전해진다.


아시아경제

명정(여흥이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무연고라는 한계가 있으나 전문가에 의해 유물 수습, 보존처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져 가치가 높다고 판단했다. 특히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의 다양한 복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높다고 봤다. 조선 여성의 염습(殮襲) 과정 등 전통 장례 방식도 엿볼 수 있어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아시아경제

자수바늘집노리개(여흥이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문화재청은 시신의 머리에 쓴 상태로 출토된 '가리마'로 여성용 쓰개(모자)의 착용법을 확인했다. 아울러 남성의 관복처럼 목선이 둥근 형태인 '단령형원삼'으로 초기 부녀 예복의 형태를 파악했다. 치마의 앞부분을 접어 앞은 짧고 뒤는 길게 만든 전단후장형 쌍스란치마는 임진왜란 이전 시기에만 확인되는 복식이다. 자수바늘집노리개 또한 당대 자수 기법을 확인할 수 있어 학술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관계자는 "얼레빗, 참빗, 귀이개, 솔 등도 출토 사례가 많지 않은 유물"이라며 "수례지의로 사용된 액주름, 철릭까지 포함돼 같은 시대 남성 복식의 특징까지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