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국제금융시장 동향
'암호자산發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다음 금융위기의 진원지는 가상화폐(Crypto Asset, 암호자산) 시장이 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전 세계에서 계속해서 돈이 풀리며 이미 투자자금은 가상화폐 시장으로 쏠리고 있고, 세계 금융시장은 복잡하게 연결돼 있어 언젠가는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상화폐, 암호자산은 모두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코인을 지칭한다.
2일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의 국제금융시장 동향(5월 24~28일)에 따르면 맥쿼리그룹의 빅터 시베츠 애널리스트는 최근 블룸버그 팟캐스트에 출연해 "다음 번 금융위기의 진원지는 암호자산(암호화폐)시장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전 세계가 강하게 연결돼 있고 레버리지도 올라가 있다"며 "금융위기의 전조였던 2007년 모기지 시장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레버리지 투자 자체가 문제는 아니지만 암호자산을 테슬라와 같은 기업이 사고 있고, 그 기업의 주식은 금융기관이, 금융기관 채권은 다른 국가들이 보유하는 등 밀접히 연결돼 있어 위험성이 훨씬 크다는 것이다. 시베츠 애널리스트는 "레버리지 거래로 부풀려지면서 해당 시장은 3조~4조달러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며 "조달러 단위 충격이 발생한다면 이것은 금융시스템 충격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말 코인마켓캡 기준 가상화폐시장은 1조5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블룸버그 팟캐스트 진행자인 조 비젠탈 역시 "사람들이 국가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며 암호자산에 투자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을 구제하는 곳은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베츠 애널리스트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정도로 전 세계는 고도로 연결돼 있고 한 자산 그룹이 다른 자산그룹에 매입되는 형태"라며 "디지털 세계에서 어떤 충격이 발생했을 때 타지키스탄, 로스엔젤레스 모기지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문제는 이 상황을 미리 파악할 수가 없고 자산을 분리해 운용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방준비제도(Fed) 등 세계 중앙은행들은 더이상 전통적 경제학 이론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하고, 고용과 물가간 연결고리(필립스곡선)도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자산시장에 대해선 열려있지 않다는 점도 위기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혔다. 시베츠 애널리스트는 "아직 (전통적 경제학자들의) 컴퓨터 화면에는 비트코인도, 도지코인도, 대체불가능토큰(NFT)도 없다"고 말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의 위험성은 더 큰 것으로 파악된다. 스테이블 코인은 기존 법정화폐와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줄인 민간 디지털 화폐다. 담보자산이 있는데다 법정화폐와 태환을 약속하는 등 연계성이 높아 시스템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JP모건은 스테이블코인이 현금, 기업어음(CP) 등의 담보를 바탕으로 발행되는 등 암호자산과 금융시장과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도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선 규제와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은 관계자는 "탈중앙화금융(DeFi) 등 암호자산에 대한 레버리지 투자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며 변동성이 커지는 것도 문제점"이라면서도 다만 "최근 급등한 시장이 조금씩 눌리는 효과는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은은 G20(주요 20개국)에서 합의한 대로 암호자산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암호학적 기법을 사용해 보안을 유지하는 자산이라는 뜻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암호자산 시장의 가격 변동성은 금융 안정이나 금융시스템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의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고, 관련 대출 부실화로 리스크가 금융기관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다만 정부의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은 ‘가상자산’이란 용어를 쓰고 있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명명하는 용어로 암호자산에 비해 더 넓은 의미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