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부끄럽고 죄송한 마음뿐"… 무릎 꿇고 사과한 5·18 계엄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1980년 5월 당시 광주 진압작전에 투입된 제3공수여단 11대대 소속 지역대장 신순용 전 소령이 21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5·18민주묘지를 찾아 열사의 묘역에서 사죄의 절을 하고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시민 진압에 투입된 신순용(73) 전 육군 소령이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41년 만에 광주를 찾아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했다.

신 전 소령은 21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그는 1980년 5월19일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부대원들과 함께 용산에서 기차를 타고 광주로 투입돼 교도소 방어작전과 광주 고립·봉쇄 작전 등을 수행했다.

이날 신 전 소령은 묘지 입구에서부터 “미안합니다”라는 사과를 수십 차례 반복했다. 참배단과 교도소 관련 사망 열사 묘역 앞에서는 두 차례 절을 하며 사죄의 뜻을 온몸으로 표했다.

그는 “부끄럽고 죄송한 마음뿐이다”며 “5·18 당시 떳떳하지 못한 군인의 행위로 고통 느끼신 분께 너무나 죄스러워 진심으로 묘역 참배해야겠다고 생각해 찾아왔다”고 말했다. 이어 “41년간 5·18 진상규명 과정을 지켜보며 진실이 왜곡되는 것 같아 직접 나서 밝혀야겠다는 생각에 2016년부터 증언에 나서 제가 목격한 것을 직접 밝히려 했다”며 “진실이 밝혀지면 동조하는 동료 증언자도 더 많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신 전 소령과 묘지 참배를 함께한 김영훈 5·18 유족회장은 “큰 용기를 내줘 감사하다. 신 전 소령에게도 지난 41년이 얼마나 피 마른 시간이었을까 생각한다”며 “군은 지휘계통상 전두환의 지시를 거부 못 했을 것을 이해한다. 건강하시고 앞으로 화해의 자리 만들어보자”고 그의 사과에 화답했다.

신 전 소령은 참배에 앞서 방명록에 ‘늦어서 죄송합니다. 여러분들의 한을 풀어드리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습니다’고 글을 남겼다.

세계일보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참배하며 방명록을 쓰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 전 소령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 앞에서 차를 타고 접근하는 시민들에게 총격을 가하는 부하 대대원을 막지 못해 결국 3명이 숨지고 1명의 다리에는 관통상을 입혔다고 양심 고백을 한 바 있다. 또 고속도로 인근 참호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나눠타고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시민들에게 2시간가량 조준 사격해 30~40명의 사망자가 생겼고, 이들을 교도소 참호 인근에 암매장한 목격담도 여러 차례 증언하기도 했다.

신 전 소령은 “당시만 해도 내려올 때는 광주에 폭동을 진압하러 간다고만 알고 왔다”며 “폭도라고 생각해 스스럼없이 행동하지 않았나 싶다”고 후회했다. 이어 “이후 사람을 죽이고, 묻는 꿈을 꾸는 등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그렇게 안 해도 됐는데 왜 그렇게 했을까 하는 후회와 죄책감에 괴로웠다”고 털어놨다.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