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지난달 증가한 청년 취업자 12.5만 명은 임시직 알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청년 취업자가 18만 명 가까이 증가했으나 이중 상당수는 계약기간이 짧은 임시직 근로자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383만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9천 명 늘었습니다.

이는 지난 2000년 8월(18만8천 명) 이후 20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청년층 고용률도 43.5%로 1년 새 2.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직전인 2019년 12월 청년 고용률이 43.8%였던 점을 고려하면 청년층 고용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상당 부분 회복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는 아직 회복이 더딘 모습입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지난달 청년층 취업자 가운데 임시직 근로자가 작년 동월 대비 12만5천 명 증가하면서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통계청 분류에 따르면 임시직 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1년 미만인 근로자인데, 흔히 볼 수 있는 아르바이트 자리도 임시직에 포함됩니다.

지난달 증가한 청년 취업자 가운데 상당수는 임시직 아르바이트였던 셈입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인 상용직(고용계약 기간 1년 이상) 근로자도 9만6천 명 늘었으나 증가 폭은 임시직보다 작았습니다.

일용직(고용계약 기간 1개월 미만)은 3만7천 명 줄었습니다.

직업별로 봐도 청년층 단순 노무 종사자가 9만9천 명 늘면서 전체 직업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르면 단순노무직은 몇 시간 또는 몇십 분의 직업 내 훈련으로 업무수행이 가능한 단순하고 일상적인 업무를 뜻하는데, 건설 현장 노동자나 음식 배달원, 건물 청소원, 경비원, 가사 도우미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반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5만 명, 사무종사자와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1만6천 명씩 각각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청년층 실업자는 42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천 명 늘었습니다.

실업률은 10.0%로 1년 새 0.7%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통계청 정의상 실업자는 조사 대상 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자를 뜻합니다.

최근 청년층에서 실제 취업에 성공한 사람과 구직활동을 하는 사람이 모두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질 좋은 일자리를 찾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100인 이상 기업 504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신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40.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규 채용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33.9%였고, 계획이 없는 기업도 25.8%에 달했습니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제보하기] LH 땅 투기 의혹 관련 제보
▶ SBS뉴스를 네이버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