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천연기념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1.05.14.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중생대 때 경상남도 사천시 해안 지역 퇴적층에서 발달한 나뭇가지 피복체가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경상남도 사천시에 있는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泗川 仙田里 白堊紀 나뭇가지 被覆? 産地)'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4일 밝혔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는 선전리 해안 지역의 중생대 퇴적층에 발달한 탄산염 성장체다.

천연기념물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등과 형성과정이 매우 유사하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1.05.14.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형태와 형성환경에서 뚜렷한 차별성이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퇴적면에서 상부로 성장해 고화된 엽층리를 가진 퇴적성장구조를 말한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는 이같은 '성장형태'가 아닌 나뭇가지를 핵으로 성장한 원통형(막대형)이라는 점이 다르다.

이 유형의 탄산염 퇴적물은 현생의 석회질 포화 호수나 하천 환경에서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선전리에서 발달한 나뭇가지 피복체는 지질 시대의 퇴적층에서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다. 발달 규모가 크며 보존상태도 좋다.

문화재청은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