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5 (금)

국립산림과학원, 고로쇠나무 '알락하늘소' 피해 비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작년 대비 피해 민원 3배 증가 ↑… 각별한 예찰 필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농한기의 주요 소득원인 고로쇠나무에 천공성 해충인 '알락하늘소' 피해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각별한 예찰이 필요하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과학원측에 알락하늘소 피해 관련 민원은 지난달 말 기준 8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머니투데이

'알락하늘소' 피해를 입은 고로쇠나무 모습./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지난 2017년 거제지역과 산청지역에서 고로쇠나무의 알락하늘소 피해를 처음 확인한 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와 합동 조사팀을 꾸려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장설명회, 친환경 방제방법 마련 등을 수행하고 있다.

알락하늘소의 피해를 입은 조림지를 분석한 결과, 조림된 고로쇠나무 12?35%가 유충 피해를 보았으며 수령에 국한하지 않고 피해를 주는 경향을 보였다. 그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고로쇠나무 유묘 조림지로 56.8%가 피해를 보았으며 이 중 3.3% 가 고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알락하늘소는 주로 감귤 및 과실수 등과 단풍나무류의 정원수나 가로수 등에 피해를 주었지만 최근 산림경영 임지의 확대로 임산물에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기주식물의 지저부(토양과 접하는 부위)에 알을 낳고 부화한 유충이 심재부로 침입해 뿌리 쪽을 향해 갉아먹으며 굴을 파고 내려가면서 자란다.

초기에는 알락하늘소의 침입 여부를 맨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으나 유충이 자라면서 나무껍질 바깥으로 톱밥 같은 배설물을 밀어내 피해를 확인할 수 있다.

성충이 되면 지저부 가까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크기의 구멍을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이런 탈출공으로 피해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여러 번 받게 된 나무는 결국 말라 죽게 된다.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는 곳에서 화학적 처리를 하면 잔류물질에 의해 수액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철망씌우기(알락하늘소 성충의 이동과 산란 방지), 침입공으로 철사를 찔러 넣어 직접 죽이기(직접적 유충 제거), 백강균이나 기생벌(성충이나 유충을 죽이는 생물학적 방제) 등을 이용하는 친환경적 방제만 가능하다. 묘목이 피해를 본 경우 친환경 약재를 이용한 수관주사나 수간살포 등의 화학적 방제까지 추가하여야 한다.

이 과학원의 손영모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알락하늘소는 처음 방제가 가장 중요하다" 며 "고로쇠수액 채취농가를 대상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방제 교육을 진행하고, 방제 방법을 개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허재구 기자 hery124@hanmail.net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