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청 “한미정상회담 의제로 백신 파트너십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글로벌 백신 허브, 조기 수급 등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 밝혀


한겨레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다음 주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서 백신 협력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백신 생산망을 국내에 구축해 전 세계에 공급하는 ‘글로벌 허브’를 희망하며 미국과 사전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한미정상회담의 주된 논의 의제 중 하나가 한미간의 백신 파트너십”이라며 “한국이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가 되는 비전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겠냐 생각한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한미정상회담 의제로 ‘백신 협력’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실장은 ‘백신 글로벌 허브’ 구축 방안으로 미국의 기술과 한국의 생산능력을 조합하는 구상을 밝혔다. 이 실장은 “미국은 백신에 대한 원천 기술과 원부자재를 가지고 있고 한국은 세계 2위 수준의 바이오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 두개를 결합하면 한국이 백신 생산 글로벌 허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글로벌 제약사가 한국에 투자를 하느냐 문제인데 한국 (백신 생산) 기업의 효율이 높다. 다른 곳이 70% 정도인데 한국은 90%여서 유럽 등의 (생산물량) 일부를 한국으로 옮겨올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최근 전 세계 백신 공급처 가운데 하나였던 인도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진 것도 이런 논의의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백신 리더십 회복’을 위해 대형 제약사들의 백신 특허를 포기하려는 움직임과도 맥이 닿는다. 국내 제약업계도 글로벌 백신 허브 구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보릿고개’가 우려되는 상반기에 백신을 앞당겨 들여오는 방안도 협의 중이다. 이 실장은 “5~6월에는 우리가 백신을 놓을 수 있는 역량에 비해 백신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그때까지 조금 앞당겨서 받으면 우리의 방역에 더 도움이 되지 않겠냐 하는 점에서 시기 조정에 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보유한 백신 물량을 우리나라가 들여온 뒤 나중에 이만큼을 되돌려주는 ‘백신 스와프’도 검토 대상이다. 정부 당국자는 “제약사들이 일정에 맞춰서 공급할 수 있을지 모르니 백신 접종 효율이 높은 우리가 먼저 쓰고 갚자는 것”이라며 “백신 효율화 차원에서 단순히 3개월 당겨서 쓰자는 것보다 보다 포괄적인 백신 협력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미국을 방문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는 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백신 추가 도입 계약을 맺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황 전 대표는 방미 성과를 통해 “현지 제약업체와 미국 의원으로부터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 맞춰 현지 제약사와 대대적인 백신 계약을 체결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이완 김지은 기자 wani@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부동산정책 기사 보기▶코로나19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