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중국 청년들 “삶의 질 낮추느니 자녀 안 낳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영 매체들 “가족계획 정책 폐기해야”

한겨레

12일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 있는 공원에서 노인들이 벤치에 앉아 있다. 푸양/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 속에 출산율도 사상 최저치에 다가선 것은 청년층이 자녀 양육비 부담과 가계 부채 등 생계 압박으로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왔다. 중국 인구 증가율이 사상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가족계획 정책을 전면 폐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2일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의 보도를 종합하면, 지난해 중국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1200만명이다. 이는 1465만명을 기록한 2019년에 견줘 1년 만에 18%나 줄어든 것으로, 지난 1961년(1187만명) 이후 최저치다. 신문은 “현 인구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출산율은 2.1명이지만, 지난해 중국의 출산율은 1.3명까지 떨어졌다”며 “초고령 사회인 일본의 출산율이 1.369명임을 감안하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중국 통계당국은 전날 제7차 인구조사((2010~2020년) 결과를 발표하면서 “0~14살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6차 조사 때보다 1.35%포인트 높아진 것은 당국의 출산장려 정책이 효과를 거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지만, 현실은 달라 보인다. 실제 지난 2015년 1655만명이던 신생아는 ‘한 자녀 정책’이 폐지된 2016년 1786만명까지 늘었지만, 이후 △2017년 1723만명 △2018년 1523만명 등 감소세로 돌아섰다.

신문은 “이같은 현상은 자녀 양육비 폭등과 가계 부채 증가로 1990년대 이후 태어난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극도로 꺼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신문은 “이미 지난 2017년 가계 지출에서 자녀 양육·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6%대를 넘어섰다”며 “2019년 홍콩상하이은행(HSBC)가 펴낸 보고서를 보면, 중국의 1990년대 이후 출생자의 수입 대비 부채 비율은 평균 1850%에 이른다”며 고 덧붙였다.

실제 중국 정부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중국의 신혼부부는 813만 쌍으로 전년 대비 12.2%나 낮아졌다. 출산에 대한 부정적 시선도 압도적이다. 중국의 트위터 격인 웨이보가 지난해 11월 28만4천여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결과, ‘산아제한이 전면 폐지된다면 자녀를 얼마나 낳고 싶으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15만명가량이 ‘자녀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신문은 30대 여성 사무직 노동자의 말을 따 “1940·50년대 태어난 (조부모) 세대는 평균 4명 이상의 자녀를 낳았고, 1960·70년대 태어난 (부모) 세대는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에 따라 자녀를 1명만 낳을 수 있었다”며 “우리 세대는 삶의 질이 낮아지느니 자녀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출산은 급속한 고령화와 맞물려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 1970년 19.3살이던 중국인의 평균 연령은 가파르게 상승해 지난해 38.8살을 기록했다. 신문은 중국발전연구기금회(CDRF)이 지난해 내놓은 보고서 내용을 따 “2050년이 되면 중국인의 평균 연령이 50살에 이를 전망이며, 60살 이상 고령자는 인구의 3분 1 수준인 5억명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7차 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어린이(0~14살) 인구가 2억5338만명인 반면 노인(60살 이상)은 2억6402만명이다. 중국에서 노인 인구가 어린이 인구보다 많아진 것은 1953년 인구조사 개시 이래 처음이다. <글로벌 타임스> 등 관영 매체들이 이날 앞다퉈 “가족계획 정책 자체를 폐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전한 것도 이 때문이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부동산정책 기사 보기▶코로나19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