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삼성바이오 “화이자 백신 위탁생산 아냐” …모더나로 관심 집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술유출 우려 및 브랜드가치 장벽 넘어야

인더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진ㅣ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이진성 기자ㅣ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 림)가 미국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위탁생산(CMO) 계획이 없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이러한 해명에도 앞으로 위탁생산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더 커지는 모습인데요. 일각에서는 국내 업체가 위탁생산을 하게 된다면 화이자가 아닌 모더나 백신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미국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을 이르면 8월부터 위탁생산(CMO)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공시했습니다. 한 매체가 인천 송도 3공장에 화이자 백신 생산을 위한 설비를 깔고 있고,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갈 수 있으며 연간 최소 10억 회분(5억명분) 이상 생산할 예정이라는 보도에 따른 해명입니다.

업계에서는 국내 업체가 위탁생산을 진행하게 되면 대상은 모더나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화이자는 당초 위탁생산을 최소화하겠다고 하는 등 현재로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안다”며 “국내 업체가 위탁생산을 하게 된다면 대상은 모더나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위탁생산을 하기 위해선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가령 mRNA방식의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선 기술전수가 필수인데요. 이른바 레시피(recipe)를 준다고 하더라도 핵심기술을 넘겨줘야 하기 때문에 기술유출에 대한 우려가 걸림돌도 작용한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최근 가능성이 대두되는 모더나와 화이자 모두 미국 업체인데, 기술유출을 크게 우려하는 자국의 눈치를 볼수밖에 없다는 시각도 나옵니다.

또 백신 후발주자로 꼽히는 한국 업계의 현실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사실이 아니라고 발표했지만, 이번 위탁생산 보도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거론된 배경입니다. 국내 제약·바이오업체 중 브랜드 인지도와 글로벌제약사를 만족 할만한 설비시설 등을 갖춘 기업이 드문게 사실인데요. 글로벌 제약기업에서 위탁생산을 결정하기 위해선 해당 기업의 신뢰도가 필수인데, 백신 후발주자로 꼽히는 한국에 위탁생산을 맡긴다면 이를 상쇄할만한 브랜드가치가 받쳐줘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정부 한 관계자는 “위탁생산 업체에 관심이 많지만 비밀유지 조항 등에 따라 계약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확정되기 전까진 밝힐 수 없다”며 “다만 화이자는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2013~2021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