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상보] 4월 취업자 65.2만명↑… 6년 8개월 만에 최대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증가… 도·소매업은 감소세 지속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출 호조와 소비 증가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지난해 고용 충격의 기저효과가 반영되면서 4월 취업자가 6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65만2000명 증가한 2721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14년 8월(67만명) 이래 가장 컸다. 취업자 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 3월(31만4000명)부터 증가로 전환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국내 생산과 소비 확대, 수출 호조 등 경기회복과 완화된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지난해 4월 고용 충격의 기저효과가 반영돼 취업자가 2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1.0%포인트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6.2%로 1.1%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3.5%로 전년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은 전체 연령층에서 모두 증가했는데 이는 2018년 1월 이후 처음이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만4000명, 9.9%), 건설업(14만1000명, 7.3%), 운수 및 창고업(10만7000명, 7.3%) 등에서 증가했다. 도매 및 소매업(-18만2000명, -5.2%),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3만명, -2.6%) 등에서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31만1000명, 임시근로자는 37만9000명, 일용근로자는 3만8000명 각각 증가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2만7000명 증가한 반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만5000명, 무급가족 종사자는 3만9000명 각각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114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5000명 줄었다. 실업률은 4.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의 경우 실업률은 10.0%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대비 32만4000명 줄어든 1666만7000명이었다. 연로(8만7000명, 3.9%)에서는 증가했으나 재학·수강(-22만7000명, -6.1%), 육아(-11만6000명, -9.5%) 등에서 감소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다현 기자 chdh072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