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단독] 스토리가 돈···네이버, 웹소설 1위 플랫폼 '문피아' 품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대주주 S2L과 단독 협상

카카오와 인수전 승리 눈앞

몸값 3,000억···IP경쟁서 우위

드라마·영화 등에 콘텐츠 활용

[편집자註] 이 기사는 2021년 5월 11일 17:00 프리미엄 컨버전스 미디어 '시그널(Signa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경제


나라 안팎에서 카카오(035720)와 글로벌 지식재산권(IP)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는 네이버가 국내 최대 규모의 웹소설 플랫폼 업체 문피아 인수를 눈앞에 두고 있다. 북미 지역 1위 웹소설 플랫폼인 왓패드 인수를 마친 네이버가 문피아까지 품으면 IP 경쟁에서 더욱 우위에 설 것이라는 게 관련 업계의 분석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투자은행(IB) 및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문피아의 경영권 인수를 위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S2L파트너스와 개별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인수 대상은 S2L파트너스·KDB(산은)캐피탈 컨소시엄과 문피아 창업자인 김환철 대표가 보유한 지분 64%다. 이번 거래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네이버를 사실상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매매계약 체결을 위한 세부 사안을 조정 중”이라고 말했다. IB 업계는 문피아의 기업가치(EV)를 3,000억 원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회사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417억 원, 당기순이익은 63억 원을 기록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외 IP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인수합병(M&A)을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가 왓패드를 인수하자 카카오는 레디시·타파스를 품었다. 장군멍군인 상황에서 이번에는 네이버가 카카오와 문피아 인수 경쟁에서 승리의 마지막 고지를 앞두고 있다. 가격을 비롯한 여러 조건에서 앞선 네이버가 우선권을 쥐고 협상을 벌이는 것이다. 네이버는 다만 “확정된 사안은 없다”면서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문피아는 무협 소설을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웹소설을 연재하고 있다. 월간 기록을 보면 독보적이다. 평균 페이지 뷰는 1억 회를 넘고 △방문자 수는 40만 명 △등록 작가 수는 4만 7,000여 명에 이른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문피아에 등록된 1,000만 회 넘는 인기 소설들을 기반으로 IP 잠재력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문피아는 IP를 활용해 드라마와 영화·애니메이션·굿즈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 인기를 끌었던 '전지적 독자 시점'은 1억 뷰 기록 등 폭발적인 인기 몰이를 하며 네이버 웹툰에 론칭하기도 했다.

/조윤희·임세원·윤민혁 기자 choyh@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