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손가락만한 자율주행車 핵심 ‘라이다’ 장치 나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포스텍 노준석 교수 연구팀, 나노 광학 기반 초소형 라이다 기술 개발



헤럴드경제

자율주행자동차.[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장치인 ‘라이다’ 장치를 나노광학기술을 활용해 손가락 크기만 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은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광학 기반 라이다 기술이 나노과학 및 공학 분야의 최고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초정밀 라이다 장치는 자율주행 자동차뿐만 아니라 지능형 로봇이나 드론, 3차원 파노라마 카메라, CCTV 및 증강현실 플랫폼에도 확장할 수 있다.

라이다 기술은 레이저 빔을 물체에 조사한 뒤 다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사물의 깊이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특히 라이다 센서는 자율주행 자동차, 지능형 로봇 및 무인항공기 분야와 같은 기계산업에서부터 최근에는 아이폰에 탑재돼 3차원 얼굴인식이나 결제를 위한 보완 시스템에 적용되는 등 미래형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 지붕에 달린 고사양의 기계식 라이다의 크기는 성인 주먹 두 개를 포개 놓은 부피 정도이며, 가격은 수천만 원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막대한 전력이 소모되는 충전 과정, 그로 인한 발열 문제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헤럴드경제

노준석 교수팀이 개발한 초소형 라이다.[포스텍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나노 광학 기술 기반의 초소형 라이다 기술을 제시했다. 라이다의 기본 측정 원리에서부터 최신 초고속·초정밀 나노 광학 측정 기법 방법, 메타표면, 솔리톤빗, 광도파로 등과 같은 나노 광학 소자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나노 광학 기술이 어떻게 라이다 센서 기술을 혁신할 수 있을지를 설명하고 있다.

노준석 교수는 “현재 연구팀은 실제로 메타표면 장치 기반의 초소형 복합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크기를 갖는 초고속·초정밀 라이다 장치를 값싸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