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코로나 지원금 2억원 들여 ‘대왕오징어' 조형물 만든 日지자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일본의 한 지자체가 일본 정부로부터 코로나19의 대응책으로 받은 지원금의 일부를 거대 오징어 모양의 조형물 제작에 사용해 일본 네티즌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한 지방자치단체가 정부로부터 받은 코로나 지원금으로 대왕오징어 조형물을 만들어 논란이 일고 있다.

CNN·일본 후지뉴스네트워크(FNN) 등은 일본 이시카와(石川)현 노토(能登) 마을의 ‘오징어역 몰’에는 최근 13m 길이의 대왕오징어 조형물이 만들어졌다. 작년 10월 제작이 시작된 이 조형물은 올해 3월 말에 길이 13m, 너비 9m, 높이 4m, 무게 5t의 규모로 완성됐다.

조선일보

거대 오징어 조형물을 만드는 데엔 일본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긴급 경제 부양책으로 해당 지자체에 지원한 ‘지방창생임시교부금’ 8억엔(약 82억원) 중 2500만엔(약 2억 6000만원)이 들어갔다. 거대 오징어 조형물의 총 공사비는 2700만엔(약 2억 8000만원)이다./노토관광포털사이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조형물을 만드는데는 일본 정부가 코로나 긴급 경제 부양책으로 해당 지자체에 지원한 ‘지방창생임시교부금’ 8억엔(약 82억원) 중 2500만엔(약 2억 6000만원)이 들어갔다. 거대 오징어 조형물의 총 공사비는 2700만엔(약 2억 8000만원)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 회복을 위해 4조 5000억엔(약 46조 3000억원) 규모의 교부금을 각 지자체에 지원했다. 이 교부금의 사용은 각 지자체가 직접 결정해서 정할 수 있지만, 대부분 코로나로 타격을 입은 지역 상점 등에 상품권이나 협력금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오징어 조형물을 본 시민들은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나랏돈이란 무엇인가. 오징어인가” “코로나 대응을 위해 왜 오징어 조형물을 만드나 “이 돈은 의료진과 장기요양시설 등에 긴급 지원으로 쓰일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선 “노토 지역 병원의 설비에나 돈을 써라” “전 세계 사람들이 어이없어 할 것” “세금낭비” 등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노토 지방정부 측은 “노토의 특산품인 오징어를 알리고 코로나 유행 이후 줄어든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이 조형물을 설치했다”며 “지역 산업 부흥의 기폭제로 삼고자 했다. 장기적인 지역 경제 대책의 일부”라고 했다.

조선일보

지자체는 노토쵸의 특산품인 오징어를 알리고 코로나19 유행 이후 줄어든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이 조형물을 설치했다. 실제 오징어 조형물은 큰 크기만으로도 눈길을 끌지만 사진 촬영 등을 할 수 있도록 오징어의 입 부분을 통해 조형물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도 만들어져 있다. /FNN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대왕 오징어 조형물은 사람이 안에 들어가 사진 촬영 등을 할 수 있다. 지자체 관계자는 “관광객들이 이미 (오징어 조형물에서) 가족과 함께 놀거나 사진 촬영을 즐기고 있다”며 “향후 설문조사 등으로 효과를 검증할 것”이라 말했다.

[정채빈 인턴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