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락 기자(chr@pressian.com)]
2021년 5월 5일, 맑음
오늘따라 주위가 시끄럽다. 사람들의 얼굴이 울그락푸르락하다. 한숨을 쉬다 저쪽을 노려보다 고개를 휙 휙 돌린다. 극우단체의 한심한 말들을 흘려 듣지 못하고 귀에 담아둔 모양이다. 수요일 정오를 기억하고 찾아와 주는 사람들의 찡그린 얼굴이 미안하고도 고맙다. 그러다 가만 생각했다. 왜 저 말 같지 않은 소리들이 낯설지만은 않은 것일까?
이제와 생각하니 오래 전에도 그랬다. 그 시절 세상은 수근댔다. 남의 일이었다. 겪지 못해 알지 못하는 일들을 쉽게들 말했다. 나라가 지키지 못해 끌려갔던 사람들이 손가락질 받았다. 자랑도 아니니 그냥 조용히 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래서였을까. 해방이 됐지만 고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중국에 정착한 위안부들이 많았다. 혼인하지 않고 평생 혼자 지낸 이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정신대' 얘기를 소리 낮춰 했고 그 존재를 내놓고 말하지 않았다. 그 시절, 역사를 잘 몰라서, 먹고 살기 어렵고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어서 그랬을거라 생각하면서도 그 이웃들의 수근거림은 늘 안타깝고 아팠다. 불편하지만 그런 시절이 있었다. 아닌가?
일본의 우경화는 노골적이고 이 나라 법원은 글자 안에 갇혀 있다. 램지어 사태도, 나눔의집 분란도 무엇하나 반가운 소식이 없다. 그 중에서 유독 참기 어려웠던 것은 아이들에게 왜 나쁜 역사를 가르치느냐는 언설이었다. 그렇게 간단히 찢어내는 것이 역사였던가? 그렇다면 우리가 일본과 무엇이 다른가? 참혹한 시대를 겪어보지 않았다고 해서 그 시대에 대해 함부로 말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아픔은 변하지 않는다. 천박하고 허황된 말들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수요시위도 어느덧 30년이다. 며칠 전 또 한 명의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이제 14명이라고 한다. 세월이 참 야속하다.
5일, 수요시위가 1490차를 맞았다. 앞서 2일 윤 모 할머니가 9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친일 극우 단체는 '소녀상 철거'와 '일본군 위안부설 날조'를 주장하며 방해 집회를 열었다. "위안부는 1명도 없고 모두 사기"라고 하더니 "아이들에게 부끄러운 역사를 가르쳐서는 안된다"고도 했다. 고령의 생존자들은 이날 자리에 나오지 못했다. 당사자가 자리에 있었다면 어떤 마음이었을까? 알 수는 없지만 그 심정을 떠올려봤다. 눈 한 번 감지 않고 꼿꼿이 앉아 있는 소녀상의 입을 빌었다. 이 날의 풍경이다.
▲ 현재 국내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14명이다. 그러나 피해 사실을 드러내지 않고 지낸 피해자도 많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1490차 수요시위.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작된 수요시위는 30년째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친일 극우단체의 집회가 수요시위 현장 바로 옆에서 열렸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는 1명도 없다", "모두 사기"라고 주장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극우단체의 소녀상 철거를 막기 위해 청년단체들이 2015년부터 소녀상 곁을 지키고 있다. 시위 공간을 뺏기지 않기 위해 박스를 만들어 그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전국 소녀상 철거단'이라고 쓴 옷을 입고 있는 친일 극우단체 사람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2일에는 윤 모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13살에 트럭을 타고 온 일본 군인들에게 끌려가 시모노세키의 방직공장에서 3년간 일하다 위안소로 끌려가 끔찍한 고초를 겪었다. 할머니의 장례는 비공개로 치러졌다. 수요시위 현장에 마련된 피해자 추모 공간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친일 극우단체 회원.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소녀상의 그림자. 위안부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90대가 넘는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소녀상 철거를 막기 위해 2015년 12월부터 현장을 지킨 청년들의 천막.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참혹한 시대를 겪어보지 않았다고 해서 그 시대에 대해 함부로 말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불편하지만 우리 사회 안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많은 상처를 주던 시절이 있었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 이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싸움은 길고 지난했다. 그러나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다. 시간은 이들의 편에 있지 않다. 소녀상의 뒷모습이 쓸쓸해 보인다. ⓒ프레시안(최형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