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테이퍼링’ 일축했지만 경기 인식 다소 개선
한국도 올해 3∼4%대 성장 가능성 저금리 부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8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제 좋아지는 것은 맞지만 부양책 정상화는 먼 이야기….”
코로나19 발생 1년이 넘어가자 각국의 경제도 조금씩 제자리를 찾아가는 중이다. 그러자 위기 극복을 위해 시행했던 강력한 부양책을 언제 거둘지가 또 다른 관심이 되고 있다. 섣불리 금리를 올리고 시장의 돈줄을 죄면 더 위험한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이에 각국 중앙은행은 경제 회복세는 인정하면서도 부양책 정상화는 ‘머나먼 얘기’라며 시기를 계속 뒤로 미루고 있다. 그러나 조건들이 하나둘씩 충족되면서 시기가 점점 임박해지는 분위기다. 어떻게든 점진적 조정을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 파월 “상당한 진전 필요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27~28일(현지시각)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연 0.00~0.25%)를 동결했다. 지난해 3월 결정한 ‘제로금리’가 1년 넘게 유지된 것이다. 매월 최소 국채 800억달러 및 주택저당증권(MBS) 400억달러 자산매입도 이어가겠다고 했다.
다만 정책결정문의 일부 표현은 긍정적으로 바꿨다. 지난달 “경제활동 및 고용의 회복세 상승에도 팬데믹 악영향 어려움 지속”이라는 문구는 이달 “경제활동 및 고용이 더욱 강화되었고, 팬데믹의 큰 영향을 받는 부문도 개선”으로 수정했다. 코로나19 위기에 대해서도 “상당한 위험요인”에서 “리스크가 남아 있음”으로 표현을 완화했다. 인플레이션 문구 또한 “2%를 계속 밑돌고 있다”에서 “대체로 일시적인 요인을 반영해 상승”으로 변경했다.
표현에선 전월보다 경기 회복세가 짙어졌다. 하지만 연준은 역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은 일축했다. 연준의 두 가지 조건인 ‘완전고용, 2% 인플레이션 목표 장기간 달성’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완전고용에 이르기까지는 먼 길이 남았으며, 우리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더 높고 지속적이기 원하며 아직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장도 이날 연준의 완화적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경제에 대한 시각이 개선되면서 테이퍼링 조건이 서서히 갖춰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100일 연설에서 강조한 대규모 재정정책도 인플레이션 촉발 등으로 연준의 통화정책에 부담을 주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이주열 “개선 움직임 있지만 불확실성 커”
한국은행도 부양책 정상화 압박이 커지고 있다. 한은은 지난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연 0.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렇지만 이날 이주열 총재는 수출 뿐만 아니라 소비심리 개선 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런데도 불확실성이 커 금리를 인상하기 어렵다고 했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전분기 대비 1.6% 성장했다. 예상보다 성장률이 높으면서 올해 연 3% 중후반, 회복 속도가 빠르면 4%대 성장까지 넘볼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이렇게 되면 한은도 기존 부양책을 고수하기 쉽지 않다. 더구나 풀린 돈들이 자산시장 과열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도 외면할 수 없는 처지다. 금리 인상의 조건으로 연준이 고용과 인플레이션을 내걸었다면 한은은 법에 명시한 물가 안정, 금융 안정 목표를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부진을 겪고 있는 민간소비의 개선 여부도 중요하다.
한은 말대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있지만 통화정책을 이대로 끌고 나가는 것도 옳은 방법이 아니라는 얘기도 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민간소비 등 내수가 회복돼 올해 4% 성장에 가까워지고 물가도 1% 중반으로 올라간다면 거시 경제 측면에서 좋은 지표다”라며 “그렇게 되면 0.25%포인트 정도 금리를 올려도 경기가 위축되지 않으며 그래도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금리 상태에서 경기가 너무 좋아지면 금리를 빠르게 올릴 수밖에 없어 자산시장에 엄청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내수 등이 회복되는 상황이라면 조금씩 조정하면서 시장에 인상을 하겠다는 신호를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esc 기사 보기▶4.7 재·보궐선거 이후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