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미술의 세계

유일한 삼신불 불교 조각 국보로 승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불교 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커"

울진 불영사 불연·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좌상·송시열 초상은 보물로

아시아경제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신불(三身佛)로 구성된 유일한 불교 조각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이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이 유물을 국보, 울진 불영사 불연·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송시열 초상을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한다고 28일 전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3m가 넘는 초대형 불상이다. 인조 13년(1635) 조각승 청헌·응원·인균과 이들의 제자들이 만들었다. 최근 발견된 삼신불 복장유물 등의 기록에서 임진왜란 때 소실된 화엄사를 재건하면서 대웅전에 봉안하려고 제작한 과정과 시기, 후원자, 참여자 등이 확인됐다.


이들이 빚은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 보신(報身) 노사나불, 화신(化身) 석가불을 가리킨다. 화엄사상에 기반한 도상(圖像)으로 변상도(變相圖)나 사경(寫經) 등에는 종종 보이나, 조각품으로는 화엄사 사례가 유일하다. 17세기 불교사상과 미술사 연구에 중요하다고 여겨져 2008년 보물로 지정됐다.


아시아경제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신불좌상은 화려한 연꽃 대좌(부처가 앉는 자리)와 팔각형 목조대좌에서 결가부좌하고 있다. 거대한 규모와 단순하면서도 선이 굵게 처리된 조각이 어우러져 중후한 느낌을 자아낸다. 당시 유명했던 조각승 집단인 청헌·응원·인균파가 참여한 만큼 각 유파의 조각적 특징도 나타난다.


문화재청 측은 "근엄한 표정의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상은 청헌, 부드러운 얼굴에 작은 눈과 두툼한 눈두덩이가 표현된 노사나불상은 응원·인균의 작품으로 추정된다"라고 설명했다. "17세기에 제작된 목조불상 가운데 가장 크고, 조각으로 삼신불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불교 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크고 중요하다"라며 "예술·조형적 수준도 조선 후기 불상 가운데 단연 돋보여 국보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다"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울진 불영사 불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울진 불영사 불연은 현종 11년(1670) 화원으로 추정되는 광현·성열·덕진 등이 참여해 만든 두 기의 불교 의례용 가마다.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 후기 가마 스무 기 가운데 가장 형태가 온전하다. 불교 목공예의 일종인 불연이 보물로 가치를 인정받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측은 "불가의 불보살상, 사리, 경전, 불패, 영가 등을 가마에 싣고 의식이 거행되는 장소로 모셔오는 데 쓰인 중요한 의식법구"라고 설명했다.


울진 불영사 불연은 제작 시기와 동기, 배경, 시주자, 제작자 등이 기록돼 조선 후기 불교 목공예 연구에서 자주 거론된다. 나무로 얽어 만든 둥근 궁륭형 지붕, 네 귀퉁이의 봉황 조각, 난간의 용머리 장식, 가마 전면에 표현된 연꽃 등에서 나타나는 조형미와 조각 솜씨도 일품이다. 문화재청 측은 "제작 당시 온전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으며 공예 기술 면에서 예술적 완성도를 갖춰 보물로 지정해 보호할 가치가 있다"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은 효종 7년(1656) 제작된 불상이다. 당시 만들어진 나한상 가운데 수량과 규모가 가장 크다. 17세기 조각장들을 계승한 조각승들이 승려 벽암 각성의 요청을 받아 제작했다.


문화재청 측은 "조각승과 불화승간 협업 체계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당시 유행한 목조·소조·채식 등을 두루 활용해 뛰어난 작품성은 물론 재치와 개성까지 드러난다"라고 설명했다. "송광사를 본산으로 활약했던 조각승들의 활동체계와 제작 태도, 경향 등을 가리켜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송시열 초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송시열 초상은 조선 중기 정치·학문에서 뚜렷한 자취를 남긴 성리학 대가 송시열(1607∼1689)을 그린 18세기 초상화다. 상단에 '尤庵宋先生 七十四歲 眞(우암 송선생 칠십사세 초상)'이란 화제가 적혀 있어 송시열의 일흔네 살 때 모습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충북 제천 황강영당에 300년 넘게 봉안돼 그간의 내력도 분명하다. 2012년에 충북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그림 속 송시열은 회색 사방건(四方巾)을 쓰고 검은색으로 깃과 소맷부리의 가장자리를 두른 회색 심의(深衣)를 입은 채 두 손을 맞잡아 소매 속에 넣은 반신상으로 묘사됐다. 주름이 깊게 파인 이마·눈가와 희끗희끗한 콧수염·턱수염이 굴곡진 삶을 대변하는 듯하다.


문화재청 측은 "송시열의 초상화 서른 점 가운데 진재해(1691∼1769) 등 당대 최고 초상화가가 그렸다고 추정될 만큼 우수한 사례에 속한다"라고 말했다. "유려하면서도 단정한 필선과 정교한 채색으로 뛰어난 예술성을 구현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국보 '송시열 초상'과 견주어도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