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뉴욕증시 상장 첫날 30% 넘게 급등하며 가상화폐 제도권 진입의 첫발을 성공적으로 내딛었다. 하지만 한국, 미국 등 중앙은행 수장들은 가상화폐 투자 과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가치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14일(현지 시간) 코인베이스는 기업공개(IPO)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식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나스닥시장에 직상장했다. 직상장 공모가에 해당하는 준거 가격(250달러)에 비해 31.3% 상승한 328.3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인베이스는 381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장 초반 429.54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상장 첫날 시가총액은 857억8000만 달러(약 95조7000억 원)로 불었다. 코인베이스가 2018년 자금을 유치했을 때 기업가치 80억 달러를 평가받은 것을 고려하면 3년 만에 기업가치는 10배 이상으로 치솟은 셈이다.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중 최초로 증시에 상장한 코인베이스는 2012년 설립돼 전 세계 100개 이상 국가에 5600만 명이 넘는 이용자를 두고 있다. 이날 코인베이스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브라이언 암스트롱의 재산도 약 19조 원으로 늘어났다.
한국의 ‘서학개미’들도 이날 코인베이스 주식을 2592만 달러어치 순매수하며 주가 상승세에 동참했다.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키움증권 등 6개 증권사에서 국내 투자자들이 사들인 코인베이스 주식은 4866만 달러어치이며, 이중 2274만 달러를 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인베이스가 나스닥시장에 화려하게 입성하면서 그동안 제도권 밖에 머물렀던 가상화폐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민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페이팔, 테슬라,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이 가상화폐 결제를 기능을 탑재하고 제도권 운용사들이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며 “코인베이스의 상장은 가상화폐의 제도권 편입이라는 ‘메가 트렌드’의 첫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 외에도 미국 크라켄, 이스라엘 이토로 등 가상화폐 거래소가 상장 계획을 밝혔다. 국내에서도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15일 코인베이스 반사 효과로 국내 증시에서는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카카오, 한화투자증권 등의 주가가 크게 뛰었다.
하지만 코인베이스의 상장 첫날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워싱턴경제클럽과의 인터뷰에서 “가상화폐는 투기를 위한 수단이며 결제수단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에도 “가상화폐는 변동성이 커 가치저장 수단으로 유용하지 않다. 달러화보다 금의 대체재인 투기적 자산에 가깝다”고 밝힌 바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자산(가상화폐)이 지급 수단으로 사용되는 데에는 제약이 아주 많고 또 내재가치가 없다는 입장은 변한 게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암호자산에 대한 투자가 과도해진다면 투자자들에 대한 관련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고, 금융 안정 측면에서도 리스크가 큰 것이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도 이날 국내 일부 가상화폐 거래소가 폐업할 가능성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또 가상화폐 투자 설명회를 통한 투자 사기에도 유의하라고 강조했다.
박희창기자 ramblas@donga.com
김민기자 kim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