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이주열 "지급수단 제약 많아" vs "대체자산 가치는 인정할때"
통화정책 수장들로서 '쏠림'에 따른 금융 위험을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일각에서는 지급수단으로서의 효용만을 강조하기보다 투자 수단으로서의 가치는 있는 그대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 상승 (PG)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암호자산(가상화폐)이 지급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제약이 아주 많고, 내재가치가 없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 팩트(사실)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앞서 2월에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회의에서 "지금의 비트코인 가격은 이상 급등이 아닌가 싶다. 비트코인 가격이 왜 이렇게 높은지를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다. 암호자산은 내재가치가 없다"고 소신을 밝힌 바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아울러 그는 이날 "암호자산은 적정 가격을 산정하기 어렵고 가격 변동성도 매우 큰 특징이 있기 때문에 암호자산 투자가 과도해지면 투자자 관련 대출 등 금융안정 위험이 커진다"며 "많은 다른 나라도 암호화폐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우려의 시각으로 보고 있고, 우리도 마찬가지"라며 걱정을 내비쳤다.
전날(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도 가상화폐와 관련해 비슷한 시각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CNBC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워싱턴DC 경제클럽과의 원격 인터뷰에서 "가상화폐는 정말로 투기를 위한 수단"이라며 "결제수단으로서 활발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천년 동안 사람들은 금이 실제로 갖지 않은 특별한 가치를 부여해왔다"며 가상화폐를 금에 비유하기도 했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양국 중앙은행장이 공통적으로 지급 수단으로서의 가상화폐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주류 화폐, 통화로 인정받으려면 결제 수단으로서 경제 시스템 안에서 통용돼야 하는데, 아직 가상화폐가 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물론 비트코인의 경우 테슬라·페이팔 등이 결제수단으로 채택했다지만, 비트코인조차 현재 지불·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극소수에 불과한 게 사실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
하지만 비트코인 등이 아직 지급수단으로서는 가치가 없더라도 금이나 은과 같은 투자 대상, '대체 자산'으로서의 가치는 인정받을 때가 됐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코인베이스의 시가총액이 나스닥 상장 첫날(14일·현지시간) 단숨에 857억8천만달러(약 95조7천억원)까지 치솟은 엄연한 사실을 애써 외면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두 중앙은행장의 발언이 기존 전통 화폐를 관리하는 수장으로서 어쩌면 당연한 반응이라는 분석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현재 통용되는 화폐의 주도권을 잡은 중앙은행이 새 가상화폐를 용인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현행 통화정책과 규제에서 (가상화폐가) 벗어나 있는데다, 중앙은행이 가상화폐를 화폐로 인정하는 순간 자칫 법정화폐의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IT(정보통신기술), 디지털 활성화 측면에서 새로운 화폐 수요가 있다면 중앙은행 스스로가 만드는 방법을 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한은도 올해 가상환경에서 파일럿 테스트(시험)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개발 중이다.
shk99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