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취업자수 13개월만에 반등… 20·60대 늘고 30·40대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월 31만4000명 늘어
공공일자리·거리두기 완화 효과
3040 제조업·음식점업 등서 줄어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월 취업자 수가 13개월 만에 반등을 이뤄냈다. 코로나19가 몰아친 지난해 3월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정부 일자리사업 등이 영향을 끼쳤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92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4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3월(-19만5000명)부터 올해 2월(-47만3000명)까지 12개월 연속 감소했다. 외환위기 당시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기간이다. 3월 취업자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3월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공공일자리 확대 등이 반등세를 견인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15일 이후 조정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영향과 지난해 3월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영됐다"며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월과 비교해도 취업자가 조금씩 증가한 것을 볼 때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고용이 회복세에 들어섰을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40만8000명), 20대(13만명), 50대(1만3000명)는 취업자가 늘었으나 30대(-17만명)와 40대(-8만5000명)는 줄었다.

정 국장은 "30대는 제조업, 협회·단체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가 컸으나 교육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는 지표가 개선됐다"며 "40대는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에서 취업자 감소가 컸고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는 증가폭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8%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5.7%로, 0.3%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는 12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4.3%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86만9000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5만4000명 줄어 13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7만명 늘어 243만6000명이었고, 구직단념자는 10만2000명 증가해 68만4000명이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