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도지사 성명서 발표, "日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 단호하게 대처할 것"
민간합동 안전대응 TF팀 구성...동해안 방사능 유역감시 지점 확대 요구
구룡포 수협 위판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동해안 지자체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자체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경북도는 14일 동해안 연안 해역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시망을 촘촘히 해 삼중수소, 세슘 등 원전 오염수 내 방사성물질의 국내 해역 유입을 정부와 함께 면밀히 감시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응해 방사능 전문가, 수산안전 전문가, 해양환경전문가 등이 포함된 민관 합동 안전대응 TF팀을 구성해 국내 해역 방사능 유입을 감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정부에서 측정 중인 국내 해역 방사능(삼중수소 등) 감시 지점 중 동해안 권역 10개 지점을 20개 지점으로 확대해 줄 것을 원안위 등 관계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또한, 수산물 안전성 분야에 민간전문가와 국가기관인 국립수산물 품질검사원과 도 어업기술센터가 참여해 원전 오염수로부터 안전한 수산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존 1대이던 수산물방사능 검사 장비를 3대로 늘리고 3명의 검사 보조 인력을 포함 6명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특히, 수입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확대와 지속적인 수산물의 원산지단속을 더욱더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125만t이 넘는 막대한 양의 방사능 오염수를 방출하기로 한 것은 우리 도민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로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오염수 방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에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 및 방사능 유입 해역 감시 지점을 확대하도록 요구 하겠다”고 밝혔다.
포항시는 이날 구룡포수협 및 포항수협 등 지역 어업단체와 공동 입장으로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로 수산물 품질을 보장하지 못할 경우, 전 국민 건강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전국 수산물 생산량에 상당히 기여하는 도시로서 국민 안전이 우려된다며 반발했다.
시는 경북도 해안선 길이 536.9㎞의 약 38%에 해당하는 203.7㎞ 해안선을 보유하고 1361가구 5000여 명에 달하는 어업인구가 있으며, 전국 대게 생산량 57%, 전국 문어 생산량 23%, 전국 과메기 생산량 90%으로 연간 수산물 위판금액이 2000억 원에 달하는 동해안 최대 어업전진기지라고 밝혔다.
더불어 동해안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죽도시장에서 년간 1조여 원 규모의 수산물이 유통되고 횟집 및 수산물 유통·가공에 3만여 명이 종사하는 동해안 최대 수산물 유통거점단지이다.
전국에서 포항의 신선한 수산물 소비를 위해 많은 관광객들이 포항시를 찾아오고 있으며, 그 경제적 파급력은 포항시의 많은 기업의 경제적 기초가 될 만큼 상당한 수준이다.
동해안권 수산물의 전국적인 신뢰가 하락할 경우 포항시 전체의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 엄청난 타격으로 작용할 우려도 표명했다.
김재환 구룡포수협 조합장은 “우리 지역은 동해안 수산물 생산의 최대 전진기지로서, 수산물이 방류수로 오염될 경우 지역의 삶은 상상 이상으로 어려움이 닥치게 된다”며, “어업인단체와 연계해 지역 수산물 수호에 전력을 다 하겠다”라고 전했다.
임학진 포항수협 조합장은 “일본 정부의 방류 판단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며, “조합 내 어업인단체와 협조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고 범정부 차원의 강력 요구를 통해 우리 바다를 지키겠다”라고 말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역의 대표자인 국회의원·언론·경북도와 인근 단체장과 합심해 대책을 강구하겠다”며, “지역수협과 어업인, 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의해 일본 정부의 독단적이고 잘못된 결정을 원천적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책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포항) 최주호 기자 cjh@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