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홍남기 “고용 회복 민간일자리가 기여…청년 고용 확대 지속”[고용 봄바람 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녹실회의-고용위기대응회의 잇단 개최 대책논의

코로나發 취업취약계층 청년ㆍ여성 일자리 창출 집중

5.8조 투입 청년일자리 101만개, 여성 일자리134만개

이재갑 “일자리는 기업이…민간 일자리창출 집중지원”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지난달 고용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선 가운데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고용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녹실회의와 고용위기 대응회의를 잇따라 열고 민간 일자리 창출과 취업취약 계층인 청년과 여성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기로 했다.

헤럴드경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년 3월 고용동향'을 주요 내용으로 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3월 고용동향’을 주요내용으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했다. 홍 부총리는 회의에서 고용이 회복된 것과 관련해 “공공행정, 보건복지업 등 재정일자리 관련업종이 아닌 서비스업 계절조정 취업자도 전월 대비 24만7000명 증가했다”면서 “전월대비 취업자 개선에는 민간일자리 증가가 기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홍 부총리는 “청년 실업률이 코로나19 위기 직전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 지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 부총리는 “고용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인 방역상황이 여전히 엄중한 만큼 최근 회복세가 민간 일자리 중심으로 지속·확대되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기업과의 소통 확대를 통해 규제개혁 과제를 적극 발굴·해결하고 제2벤처 붐 확산,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DNA 등 신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수주 증가로 고용 확대가 예상되는 조선 등 분야에 필요 인력이 적기 공급되도록 인재양성, 직업훈련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디지털·그린뉴딜 등 유망 분야에서의 투자 확대, 인재 양성, 직업능력 개발 등으로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별고용촉진장려금, 청년일자리창출지원 등 민간 기업 고용 창출 확대를 위한 추경 일자리 사업도 신속 집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이날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기재부 등 15개 부처 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13차 고용위기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장관은 회의에서 “다음달 이후에도 고용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5조8000억원의 재원을 투입해 ‘101만8000명+α’ 규모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코로나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과 여성에 대해서는계속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며 디지털·그린 등 유망분야의 민간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직업능력 개발, 구직 지원 등 정책적 노력을 배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지난달 발표했던 청년고용 대책의 신속한 이행을 위해 5조8000억원의 재원을 투입해 ‘101만8000명+α’ 규모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것”이라며 “민간·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12만9000명, 청년구직활동지원 7만2000명 등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신설된 사업을 최대한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134만명 여성의 고용유지, 일자리 창출,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새일여성인턴, 서비스분야 공공일자리 창출 등 추경 사업의 조속한 집행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그는 “일자리는 무엇보다 기업이 만드는 것이므로 민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데 더욱 집중하겠다”며 민간 소통 강화를 통해 규제를 혁신하고, 제2의 벤처 붐 확산 등 창업 활성화, 신산업 육성에 대한 지원을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ewki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