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총선 이모저모

윤호중 "조국, 총선으로 심판 끝나" vs 박완주 "성역은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윤호중(왼쪽),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자가 13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자 합동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뜻은 확 달랐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를 앞두고 13일 열린 1차 토론회에서 윤호중 의원과 박완주 의원이 대결을 펼쳤다. 두 사람은 ‘친문 당권파’와 ‘비주류 쇄신파’의 입장으로 의견이 갈렸다. 윤 의원이 말한 혁신은 '기존 입장의 재정비'였다. 조국 사태, 검찰 개혁, 원 구성 등 사안 마다 그런 의견이었다. 반면 박 의원은 전면 혁신을 강조했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가 4·7 재·보궐선거의 패배 요인이 됐다는 지적에 대해 윤 의원은 “조국 사태는 대통령의 인사권에 검찰총장이 개입한 부적절한 사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임명한 조 전 장관을 지키는데 우리 당이 노력을 했고, 그 과정에서 20·30대 청년층의 비난을 샀다”면서 “그러나 이미 1년 반 전에 진행된 사건에 대해 총선을 통해 충분히 국민의 평가와 심판을 받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의견이 달랐다. 그는 조국 사태에 대해 “검찰의 행태에 비판하는 게 정의라고 판단했었다”면서 “다만 조 전 장관의 가족사를 보면서 문재인 정부가 기치로 세웠던 공정 문제에 대해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또 “1년 반 전의 이야기지만 평가에는 성역이 있어선 안 된다”면서 “조국 사태를 논하는 것을 금기를 넘는 것처럼 하는 당의 문화는 옳지 않다”고 말했다.

검찰의 수사권을 완전히 박탈하고(검수완박) 중대범죄수사청을 설치하는 ‘검찰개혁 시즌2’에 대해서도 다른 입장을 보였다. 윤 의원은 “검찰의 수사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은 분리 해야 한다”며 “당의 새 지도부가 들어서면 검찰개혁특위의 논의 결과를 통해 개혁안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현재 검찰개혁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다.

박 의원은 “검찰개혁을 후퇴시킬 생각은 없다”면서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이후 중수청을 만든다고 할 때 국민들이 ‘왜 또 저러지?’ 이럴 때는 속도 조절을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공약으로 제시한 “원구성 재협상”에 대해선 윤 의원이 반대 의견을 냈다. 윤 의원은 “1기 원내대표의 원구성 협상은 지금도 유효하다. 지금은 재협상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당장 일을 시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난 1년 민주당은 국회를 독점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선거에서 민심을 확인했다”면서 “법제사법위원회를 야당에 내주지 않는 선에서 재분배 논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원내대표 선거로는 처음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됐다. ‘2030 남성을 위한 민심 수습과 정책 대안은 무엇인지’란 실시간 댓글에 두 의원이 대답했다. 윤 의원은 “2030 세대가 문재인 정부에 기대가 대단히 컸는데 희망을 살려드리지 못했다는 점이 죄송하다”고 했다. 박 의원은 “20대인 아들도 내가 하는 말에 ‘꼰대’라고 말할 정도로 우리가 2030 세대의 생각을 이해 못하고 있다”면서 “청년 주택을 주겠다는 등의 정책은 순전히 위에서 내려다 본 정책이었다”고 말했다.

‘당심과 민심을 조화시킬 방안’에 대해 윤 의원은 “입법청문회를 활성화 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당헌·당규를 고쳐 서울·부산시장 선거에 후보를 내자는 것이 압도적인 당심이었지만 민심은 달랐다”면서 “민심을 이기는 당심은 없기 때문에 당과 청와대가 민심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송승환 기자 song.seunghw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