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막걸리 빚기 문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유자·보유단체 없이 종목만 지정 예고

뉴스1

막걸리.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막걸리 빚기 문화'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지정 예고의 대상은 막걸리를 빚는 작업은 물론이고, 다양한 생업과 의례, 경조사 활동 등에서 나누는 전통 생활관습까지 포괄한 것이다.

일반적인 쌀 막걸리는 쌀을 깨끗이 씻어 고두밥을 지어 식힌 후, 누룩과 물을 넣고 수일 간 발효시켜 체에 거르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막걸리의 '막'은 '마구'와 '빨리', '걸리'는 '거르다'라는 뜻으로 '거칠고 빨리 걸러진 술'을 말하며 명칭이 순우리말일 뿐만 아니라 이름 자체에서도 술을 만드는 방식과 그 특징이 드러나 있다.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등 곡류로 빚기 때문에 삼국 시대 이전 농경이 이루어진 시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미온'(美醞), '지주'(旨酒), '료예'(醪醴) 등 막걸리로 추정할 수 있는 내용들이 확인된다.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등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도 막걸리로 추측되는 '백주'(白酒) 등의 용어도 나와있다.

조선 시대 춘향전, 광재물보에서는 '목걸리', '막걸니’'등 한글로 표기된 막걸리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규합총서, 음식디미방을 비롯한 각종 조리서에서도 막걸리 만드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뉴스1

막걸리를 거르는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막걸리는 물과 쌀, 누룩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제조 과정이 간단한 만큼 그 값이 저렴해 많은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었고, 서민의 애환을 달래주는 술의 대명사가 되었다.

또한, 막걸리는 예로부터 마을 공동체의 생업·의례·경조사에서 빠지지 않는 요소였다. 오늘날에도 막걸리는 신주(神酒)로서 건축물의 준공식, 자동차 고사, 개업식 등 여러 행사에 제물로 올릴 정도로 관련 문화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막걸리는 많은 국민이 즐기고 향유하는 대중적인 술이다. 조선 시대까지 막걸리는 집집마다 가양주(家釀酒)로 빚어 집안 특유의 술맛을 유지해 왔으며, 김치, 된장과 같이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던 발효음식의 하나였다.

근대 이후 국가 정책의 흐름에 따라 가양주(집에서 담근 술) 대신 양조장 막걸리가 일반화되고 재료가 변화하기도 하였지만, 시대적 상황에 적응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해왔다. 2000년대 이후에는 막걸리 열풍이 불면서, 자가 제조도 증가하는 추세다.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기 문화'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을 비롯해 각 지역별 특색이 뚜렷한 점, 현재에도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해 막걸리를 빚는 전통지식이 전승·유지되고 있는 점 등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막걸리 빚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막걸리 빚기 문화'는 2019년 '숨은 무형유산 찾기'와 '국민신문고 국민제안'을 통해 국민이 직접 국가무형문화재를 제안해 지정 예고되는 첫 번째 사례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은 13일부터 5월12일까지 30일 간 '막걸리 빚기 문화'를 지정 예고하고,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다.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예고 기간에 문화재청 누리집 외에도 '케이(K) 무형유산 동행'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을 통해서 '막걸리 빚기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