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1일 정의용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현 외교장관)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등의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홍봉진 기자 honggga@ |
외교부가 일본 정부와 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일본 민간에서 '친한파'를 늘리는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과거사 문제로 양국 관계가 경색되면서 유튜브 등을 활용한 공공외교로 혐한 정서를 누그러뜨리려 하는 것이다.
공공외교란 정부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외국인을 상대로한 국가 홍보활동을 말한다.
31일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외교부는 '투트랙 기조에 입각한 연내 대일 공공외교 재활성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용역을 오는 4월부터 5월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외교부는 연구용역 문제에서 과거사 문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등을 거론하며 "한일관계의 근간이 되는 민간 교류 위축 및 상호 불신이 심화됐다"며 “대일 공공외교 재활성화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는 한일 관계에 대해 역사 문제와 미래 발전 방향을 나눠 풀어 나간다는 ‘투트랙’ 전략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역사 분야의 대립이 첨예해 효과는 미진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취임 이후 50일 넘게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전화 통화 한통 나누지 못할 만큼 한일 외교 당국 간 관계는 냉랭한 상태다.
연구용역 문건에는 올해 일본에서 선로에 추락한 취객을 구하려다 사망한 고(故) 이수현 의인 20주기(1월26일), 동일본 대지진 10주기(3월11일), 도쿄올림픽(7월23일~8월8일) 등을 거론하며 "주요 타이밍에 적합하며 한국 및 일본 국민의 반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안"돼야 한다는 목표가 실렸다.
정 장관의 전임인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때 나왔던 아이디어도 적극적 검토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측 수출규제로 실현되지 못한 2018년 한일문화인적교류활성화TF(태스크포스) 결과보고서 중 현재도 유효한 공공외교 아이디어를 복원하고 현 시점에 맞게 발전시킨다는 방침이기 때문. 디지털화 추세와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비대면 추세를 감안해 유튜버들과 협업 방안도 검토 대상이 된다.
또 민간 교류 활성화는 반드시 정부 간 교착상태가 타개돼야만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정부 간 교착 상태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는지도 연구 대상이 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반적으로 외교부도 공공외교를 강조하고 있어 방안을 고민하다 용역을 추진하게 됐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제약으로 유튜브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으로 최대한 민간하고 소통을 강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