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코로나백신 예약시스템…인증서 경쟁 2라운드 '후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백신 예약 시스템이 카카오, 패스, NHN페이코 같은 주요 민간인증서 서비스 업체들 최대 격전지로 떠올랐다.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려면 이 시스템에 접속해 본인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올해 초 연말정산을 위한 홈택스가 주로 직장인 대상이었다면, 백신 예약은 전 국민을 상대로 인증서를 알릴 기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인증서 사업자들은 코로나19 백신 예약 시스템에 '로그인'하기 위한 본인인증 과정에서 자사 서비스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백신 예약 시스템 로그인에 지난해 12월 말 선정한 공공분야 전자서명 시범사업자 5곳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카카오의 카카오인증서, NHN페이코의 페이코인증서, 이통3사가 제공하는 '패스', 한국정보인증의 '삼성패스', KB국민은행의 'KB모바일인증서' 등 5곳이 치열한 경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는 이번 경쟁에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카카오 인증서는 카카오톡만 깔려 있으면 별도 앱 설치나 회원 가입이 필요 없다. 다른 인증서는 접종 예약 전 로그인에만 활용돼 예약 내용 알림을 위해선 별도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 카카오톡은 인증뿐 아니라 이후 접종 일시와 장소 등 예약 내용 알림까지 하나의 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접근성, 편의성, 완결성 면에서 차별성을 확보했다.

민간인증서 사업자들은 코로나19 백신 예약 시스템이 서비스를 알릴 수 있는 최대 기회라고 보고 있다. 민간인증 서비스가 격돌했던 올해 초 연말정산은 이용자 선점을 위한 대상이 주로 경제활동인구에 국한됐다. 또 사용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공동인증서 이용자 비중도 높았다. 올해 1월 15~30일 홈택스에서 사용된 인증서 이용 건수 총 8107만건 가운데 옛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 사용은 7106만건에 달했다.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인증은 586만건으로 민간인증서 중 1위를 차지했지만, 공동인증서와 격차가 컸다. 패스 앱을 통한 인증은 240만건으로 카카오톡의 절반 수준이었다. KB국민은행(65만건), 페이코(13만건), 삼성패스(9만건)가 뒤를 이었다. 반면 코로나19 백신 예약은 전 국민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또 연말까지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국내 인증서 업체 관계자는 "올 초 연말정산은 민간인증서의 공공 분야 최초 경쟁이라는 의미가 있었지만, 아직 공동인증서에 비해 인지도가 낮았다"며 "코로나19 백신 예약은 전 국민이 대상인 데다 이전보다 민간인증서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만큼 이용자 선점을 위해 더욱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와 별도로 코로나19 백신 '예약 알림' 시스템은 인증서 사업자뿐 아니라, 주요 인터넷 플랫폼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다. 지난 10일 정부는 네이버, 카카오톡, 토스와 업무협약을 통해 백신 접종 예약 후 알림을 받을 수 있게 했다.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 네이버,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맞대결을 벌이게 됐다. 상대적으로 이용자가 적은 토스가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도 주목된다.

향후 백신 증명서 혹은 백신 여권 발급을 민간에도 허용하면 국내 인증서 사업자와 플랫폼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백신 여권은 정부가 발급하는 일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다. QR코드를 포함해 앱과 종이 형태 등 다양한 수단이 검토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이스라엘 등 각국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뉴욕주는 IBM이 개발한 디지털 백신 여권 엑셀시오르 패스 시범 운영을 실시했다. 별도로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세일즈포스닷컴은 의료기관과 백신 접종 여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보건복지부에서 '녹색 여권(Green Card)'을 발급해 그리스, 영국 등 인근 국가를 오갈 수 있도록 협정 체결을 논의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해 3월 위챗을 기반으로 한 국제여행 건강증명서를 출시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자국 인터넷 서비스로 전 국민 완전 자급이 가능한 거의 유일한 나라로, QR 체크인 성공 모범 사례가 있어 민간과 연동한다면 백신 증명서나 여권을 빠르게 보급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대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