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국내 첫 '군사' 주제 사전식 도감 발간
소포 포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립고궁박물관은 왕실문화도감 제5책 '무구(武具)'를 발간했다고 11일 전했다. '군사'를 주제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간행한 사전식 도감이다. 각종 유물의 다양한 삽화와 시각자료가 담겨 있다. 관계자는 "'조선왕실 복식(2012)', '궁중악무(2014)', '국가제례(2016)', '의장(2018)'에 이은 왕실문화도감의 마지막 편"이라며 "무기, 갑옷 등 다양한 조선의 군사 기물 자료를 수록했다"고 소개했다.
'무구'란 전쟁에 쓰이는 총검, 화포, 핵병개 등 온갖 기구를 뜻한다. 박물관 측은 조선 시대 무기와 군사 복식을 크게 ▲궁시(弓矢) ▲화포(火砲) ▲도검(刀劍) ▲창(槍) ▲타살무기(他殺武器) ▲복식(服飾) 여섯 부문으로 나누고 관련 삽화 134점을 실었다.
무구 사용법(통아에 편전을 끼운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궁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무기인 활과 화살이다. 도감에는 실전·의례용은 물론 신분을 나타냈던 화살까지 수록됐다. 화포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해 철환이나 화살을 발사하는 무기. 박물관 측은 우리나라의 각종 화포와 조총·불랑기(佛朗機) 등 다른 나라에서 도입한 화포를 함께 다뤘다. 도검에서는 환도(環刀)류·사인검(四寅劍) 등을 정리했고, 창에서는 당파(??)·요구창(?鉤槍) 등을 수록했다.
X-ray 촬영 어피로 감싼 환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타살무기는 무게와 휘두르는 힘으로 적을 타격하는 것들을 통칭한다. 기병이 사용했던 마상편곤(馬上鞭棍)이 대표적인 예. 도감에는 금속 부분을 화려하게 장식해 궁중 의례에서 사용했던 무구 등도 수록됐다. 복식으로는 갑옷과 투구, 군복은 물론 군사 관련 일에 착용했던 융복(戎服) 등도 실었다. 관계자는 "세부 문양, 무기 사용법, 다양한 구조 등을 세밀한 그림으로 구현해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면서 "특히 전통 활의 사용법, 화포의 세부 구조, 갑옷의 내부 구조, 의장용 무기들의 세밀한 문양들을 삽화로 구현했다"라고 설명했다.
불랑기포 유리건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감에는 무구와 관련한 기초자료로 각종 병서와 의궤, 고문헌의 도설(圖說) 속 회화 등도 고화질 이미지로 수록됐다. 박물관 측이 소장한 무구가 찍힌 유리건판 자료 마흔네 점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관계자는 "일제강점기에 이왕가박물관 소장 유물을 촬영한 것으로, 당시 유물의 상태나 현재 남아 있지 않은 재료·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며 "특히 화포 가장 뒷부분의 모병(冒柄)에 자루가 꽂혀있는 모습의 불랑기포(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이 가져와 전투에 사용한 대포) 유리건판은 매우 희귀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왕실문화도감 제5책 무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물관 측은 도감 제작 과정에서 내시경·적외선 카메라·엑스레이(X-ray) 촬영 등 과학적 조사를 진행해 뜻밖의 성과도 거뒀다. 관계자는 "철퇴 돌기에서 입사(入絲)로 장식된 전서체(도장을 팔 때 많이 사용하는 한자 서체) 글씨를 확인했다"며 "'사기(事記)'에 수록된 유후열전의 기록과 일치하는 문구"라고 밝혔다. 도감은 국공립도서관과 박물관 등에 배포된다. 국립고궁박물관과 문화재청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