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이슈 국내 백신 접종

[연합시론] 국내 첫 백신 접종·거리두기 연장, 시너지 효과 내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서도 마침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반격이 시작됐다. 국내 첫 백신 접종이 26일 전국의 보건소와 요양병원에서 일제히 실시된 것이다.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20일 이후 1년 1개월여만이다. 전국 요양병원·요양시설, 정신요양·재활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와 종사자들이 이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다. 하루 뒤인 27일에는 코로나19 환자 치료 의료진에 대한 화이자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백신이 코로나 사태를 해결하는 만능열쇠는 아니지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인 것만은 분명하다. 7천9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한 정부는 고위험군을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차례대로 백신을 접종할 계획이나 원활한 백신 수급, 변이 확산 예방, 국민 신뢰 유지 등은 여전히 변수이다. 하나같이 계획에 큰 차질을 초래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들인 만큼 미리 준비하고, 차분히 대처해야 한다.

국내의 집단면역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일부에서 논란이 제기됐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최근 보고서에서 광범위한 접종의 완료 시점으로 미국과 유럽의 대다수 국가의 경우 올해 후반, 한국·일본·호주·러시아 등은 내년 중반으로 예상했다. 일반적으로 집단면역은 전체 인구의 약 70%가 코로나19를 방어할 수 있는 항체를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나온 백신의 평균 예방 효과가 약 80%라는 점을 고려하면 90% 가까운 국민이 백신을 맞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셈이다. 하지만 오는 9월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친 뒤 11월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오류라고 보기도 어렵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국민 70%가 접종하면 항체 양성률이 56%가량인 만큼 감염 재생산지수가 2 이상인 이례적 상황에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집단면역의 기준에 관한 이견일 뿐 본질적인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곧 코로나19가 사라질 것'이라는 섣부른 기대로 사회 전반의 긴장감이 떨어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더구나 집단면역은 확산세가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는 것이지 개개인의 감염 위험이 사라졌다는 의미는 전혀 아니다.

백신 접종은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지만 동시에 더 큰 위험에 노출되는 시기이기도 한다. 코로나 대응 역량이 백신 접종에 집중되면서 방역이 소홀해지고, 환자 치료 여력이 줄어들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이날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수위를 2주일 더 연장하기로 한 것은 적절해 보인다. 몇 개월째 하루 수백 명의 확진자가 쏟아지는 것도 버거운 데 확산세가 더 커지면 백신과 방역,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위험이 크다. 방역 체계 개편안 발표도 다음 주로 미뤄졌다. 새 개편안은 현재 5단계인 거리두기를 단순화하고 영업 제한과 집합 금지 등 강제 조치를 최소화하는 방향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방역'으로 전환하더라도 빈틈이 생겨서는 곤란하다. 백신 접종과 방역이 서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꼼꼼한 전략을 짜야 한다. 오명돈 중앙예방접종센터장의 말처럼 이날은 "코로나19에 뺏긴 일상을 탈환하기 위한 반격을 시작하는 역사적인 날"이다. 정부와 국민 모두 호흡을 가다듬고 다시 한번 힘을 내주기를 바란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