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광명·시흥에 7만 가구 신도시…서울까지 20분 철도망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3기 신도시, 최대 규모

부산 대저동 1만8000가구 조성

광주 산정·장수동 1만3000가구

3곳 모두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광명시흥이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조성된다. 총 7만 가구(대지 면적 1271만㎡)로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다. 지방권에서는 부산대저(1만8000가구), 광주산정(1만3000가구)에 중규모 신도시가 조성된다. 세 곳 합쳐 총 10만1000가구에 달한다.

24일 국토부는 이런 내용의 ‘대도시권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을 밝혔다. 정부가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으로 발표했던 2·4 대책의 후속 조치다. 당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국에 83만 가구 공급 계획을 발표하며 이 중에서 24만3000가구를 신규 공공택지에서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나머지 15만 가구 입지는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4월께 공개된다.

중앙일보

6번째 3기 신도시 및 중규모 공공택지 선정 지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브리핑에서 윤성원 국토부 제1차관은 “수도권은 서울 인근 서남부권의 주택 공급 및 기존 신도시 입지 등을 고려해 광명시흥 지구를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선정했다”며 “지방권도 주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5대 광역시권을 중심으로 중규모 택지 선정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꼽힌 광명시흥의 경우 기존 3기 신도시 5곳과 비교하면 최대 규모다. 문재인 정부는 2018~2019년에 걸쳐 서울 집값을 잡겠다며 남양주왕숙1(5만4000가구)·왕숙2(1만5000가구), 인천계양(1만7000가구), 하남교산(3만4000가구), 고양창릉(3만8000가구), 부천대장(2만가구) 등 3기 신도시를 발표했다.

광명시흥은 이명박 정부 시절 보금자리 주택지구(9만5000가구)로 지정됐다가 주택시장 침체와 주민 반발로 지구 지정이 해제됐다. 문 정부 들어 신도시 공급 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유력 후보지로 꼽히다 결국 여섯 번째 3기 신도시로 지정됐다. 서울 여의도에서 12㎞가량 떨어져 있으며, 서울시 경계에서 최단거리 1㎞로 서울 주택 수요 흡수가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여의도 면적의 4.3배로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로 조성된다. 면적으로 따지면 지금까지 1~3기 신도시 중 동탄2(2400만㎡), 분당(1960만㎡), 파주운정(1660만㎡), 일산(1570만㎡), 고덕국제화(1340만㎡)에 이어 여섯 번째로 크다.

교통대책도 마련한다. 서울까지 20분이면 이동할 수 있도록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을 구축한다. 1, 2, 7호선과 현재 건설·계획 중인 신안산선, GTX-B, 예비타당성 검토 중인 제2경인선(구로차량기지 이전 노선 포함) 등을 연결하는 철도 교통망을 갖춘다. 국토부 측은 “여의도 20분, 서울역 25분, 강남까지 45분이면 갈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까지 직통은 없고 모두 환승 노선이라 소요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부산대저지구는 강서구 대저동 일대 243만㎡로 1만8000가구를 공급한다.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한 자족도시 조성을 위해 배후주거지로 공급된다. 교통대책으로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신설한다.

광산구 산정동·장수동 168만㎡ 일대에 1만3000가구가 들어서는 광주산정지구는 광주형 일자리사업과 연계한 주거지와 스마트 물류 및 청년 창업 플랫폼을 구축한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1차 지구에 대해서는 2023년 중 사전 청약을 하고,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 모집(분양)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지구 지정을 완료하기로 했다.

투기 방지를 위해 지구 3곳 모두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지난 23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25일 공고되며, 3월 2일부터 2년간 발효된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