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의 후궁·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피해국에 대한 보상, 강제노동의 실체, 국제법과 재판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와 일본이 가야 할 방향을 살폈다.
책은 우선 2000년 강제노동자를 보상하는 재단이 발족해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할 때까지 독일의 역사 인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들여다본다.
이어 독일 산업계와 국방군 등에서 벌어진 강제노동의 실태를 분석하고, 강제노동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또 국제법과 독일 국내법에서 강제노동을 어떻게 다뤘으며, 나치 범죄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종전 이후 독일 기업들이 소홀히 했던 강제동원·강제노동에 대한 보상 문제도 다룬다. 특히 강제노동 피해자를 보상하는 '기억·책임·미래' 기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자인 다무라 미츠아키 전 일본 호쿠리쿠대 교수는 책 마지막 장에서 독일 기업이 앞으로 "왜 제3제국 살육체제의 당사자가 됐는지, 그 역사적 규명을 스스로 해야 할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기억·책임·미래' 기금 창설로 역사에 막을 내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경인문화사. 348쪽. 2만6천원.
▲ 조선왕실의 후궁 = 이미선 지음.
조선시대 후궁제도의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책은 후궁 175명의 역할과 위상을 내명부(궁중에서 품계를 받은 여인) 제도와 조선왕실의 운영 원리 변천에 맞춰 규명하고 조선사회의 성격을 설명한다.
저자는 우선 후궁을 간택 여부에 따라 간택 후궁과 비간택 후궁으로 나눴다. 간택 후궁과 승은 후궁이란 기존의 분류로는 승은 이외 다양한 입궁 경로와 출신 성분을 가진 후궁의 존재를 담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어 조선시대를 세 시기로 구분해 내명부 제도와 시대 상황에 따라 후궁의 위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추적한다.
저자는 태조부터 성종 대까지는 비간택 후궁에 노비, 과부 등 다양한 출신의 여성이 포함됐으나, 조선 후기인 영조 대부터는 정식 절차를 거친 궁인 출신들이 많아졌다고 밝힌다.
이에 대해 저자는 "조선 전기에는 유교의 명분론적 법체제가 미비했으나 중후기로 갈수록 성리학적 신분 질서가 고착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식산업사. 536쪽. 3만원.
▲ 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 오명석·홍석준·채수홍·강윤희·이상국·서보경·정법모·김형준 지음
우리나라 인류학자 8명이 동남아시아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각자의 취향과 관점에 따라 이야기한 책이다.
저자들은 동남아의 다양성과 통일성, 증여와 호혜성, 산업화와 노동, 언어, 건강, 변경(邊境), 개발, 종교에 대해 각자 서술한다.
이야기 소재로 삼은 국가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다양하다.
눌민. 428쪽. 1만8천원.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