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5 (수)

IPTV·케이블서 지상파UHD 볼수 있을까…재송신대가 최대 관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올해부터는 안방에서 편하게 유료방송으로 지상파UHD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동안 주파수를 통한 직접수신만을 고집했던 지상파 방송이 유료방송 재전송 협상에 나선다. 재전송 대가 상승에 기술적 이유로 난색을 표했던 유료방송사도 협상테이블에 앉을 예정이다.

직접수신을 정책목표로 시행됐던 지상파UHD가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받아들자 정부가 유료방송 재전송에 동분서주하는 모습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연말 '지상파 UHD방송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했다. 지난 2017년 5월말 전 세계 최초로 지상파UHD 방송이 시작됐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3사 모두 방송망구축, 편성비율 등을 이행하지 않았다. 현재 지상파UHD 방송 시청가구는 통계에 잡히지도 않을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방통위는 수정된 정책방안을 통해 방송망 구축 일정을 연기하고 편성비율 의무도 낮춰졌다. 하지만 UHD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유료방송이 필요했다. 전국 대다수의 가구가 유료방송을 통해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파수를 통한 직접수신만 고집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2017년 UHDTV 생산비중은 34.8%였지만 2019년에는 64.6%로 확대됐다. 시청도구 확보 이슈는 빠른 속도로 해소가 되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지상파방송만 수신하는 가구는 2.6%에 불과하다.

UHDTV가 있어도 바로 지상파UHD를 볼 수 없다. 방송망 구축이 더딘데다 수신 안테나를 별도로 사야 한다. 여기에 지상파UHD를 볼때마다 유료방송 셋톱박스와 오고가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이용할 콘텐츠도 많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이용 불가능한 수준의 불편함이 지상파UHD 활성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지상파UHD가 아닌 전체 UHD 방송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유료방송사들의 참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료방송을 통해서도 UHD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및 보급, 사업자간 협의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직 협의를 위한 구체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설 연휴가 지난 후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상파UHD 재송신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일부 지역의 경우 UHD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셋톱박스가 보급됐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도 만만치 않다. 또한 지상파 방송사들은 별도의 채널 배정을 희망하고 있지만 케이블TV의 경우 채널여유가 많지 않다. 2022년까지 UHD 편성비율은 20%에 불과하다. 유료방송 입장에서 5분의 1밖에 안되는 콘텐츠 때문에 채널을 할당하는 것은 부담일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유료방송에서는 차라리 지상파 3사 콘텐츠를 한 채널에 모으자는 아이디어도 나왔지만 방송 시간이 겹치기 때문에 이 역시 어려운 상황이다. 다채널서비스(MMS) 도입 및 이에 따른 광고제도 등도 정비해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재송신 대가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자체 플랫폼 강화를 위해 UHD 방송을 시작했지만 유료방송이 재송신에 무관심 했던 이유는 콘텐츠 대가상승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최근 방통위, 과기정통부가 공동 운영하기로 한 방송채널 대가산정 개선 협의회에서 관련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료방송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UHD를 통해 가입자당재송신대가(CPS)를 올리려 하지 않겠느냐"며 "그동안 지상파의 요청도 없었지만 유료방송 역시 대가상승을 우려해 재송신에 무관심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정부 입장에서 UHD 활성화를 하려면 지상파의 콘텐츠 투자가 절실하다. 그리고 저변을 넓히려면 유료방송의 재전송이 함께 진행돼야 한다.

방통위 관계자는 "재송신 대가의 경우 UHD 패키지 등을 통해 희망하는 시청자에게 부담을 더 지우는 방식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며 "그동안 서로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지만 점차 달라지고 있고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선 만큼,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